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부문
낱개
가닥
가락
유형
양식
d라이브러리
"
갈래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01
농경문청동기(農耕文靑銅器)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농경문청동기의 앞면에는 두
갈래
로 갈라진 나뭇가지 위에 서로 마주 보듯 앉아 있는 모습의 새 두마리가 새겨져 있다. 이와 유사한 내용은 고구려의 각저총에서도 보인다.각저총 현실동벽의 각저도에는 하늘로 뻗은 붉은 갈색 줄기의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11
살고 있다). 또다른 현재를 가정‘대체역사’는 ‘평행우주’라는 SF의 하위 장르 중 한
갈래
인데, 우리나라에는 1987년에 복거일의 처녀장편 ‘비명을 찾아서’가 발표되면서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 간단히 말하자면 ‘현재’란 우리가 존재하는 지금 이 세계만이 아니며, 같은 시간대의 또다른 ... ...
공기는 생명의 근원
과학동아
l
199708
나뉘어 좌우 허파로 간다. 폐에서는 거꾸로 세운 나뭇가지처럼 공기의 통로가 계속 여러
갈래
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을 기관지라고 한다. 기관지의 맨 끝에는 지름 0.1-0.2mm의 공기주머니가 포도송이처럼 허파꽈리가 매달려 있다. 허파꽈리는 폐를 이루는 기본단위이다. 허파꽈리의 수는 3억-4억개로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07
완성은 현재 어디까지 왔을까? 끈이론에서 면이론으로현대 통일장이론은 두
갈래
의 뿌리에서 시작됐다. 하나는 1975년 필자와 몇몇 사람들이 시작한 것으로 약력 및 강력을 기술하는 게이지이론과 칼루자의 5차원 통일장이론을 보다 고차원적 중력이론으로 통일시킨, 이른바 고차원적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07
인물들은 두사람의 집요한 X파일 사건 추적을 계속 허용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두
갈래
로 나뉘어 파워게임을 펼친다. FBI라는 무소불위의 권력기관에서 일어나는 이런 류의 확인 불가능한 싸움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진짜 과학’ 과의 차이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평균 텔레비전 시청 ... ...
과학으로 풀어본 운명철학 손금
과학동아
l
199706
단명을 의미한다고 보는데, 이 말이 과학적인 근거를 가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두
갈래
로 나눠진 더부형의 경우 엄지손가락이 더욱 원활하게 운동하도록 만들어진 것일 뿐이다. 인생의 시작과 끝에 비유 사람들은 손금의 시작과 끝을 인생의 시작과 끝으로 비유하곤 하는데, 이 말은 어느정도 ...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04
근거를 밝히려는 연구가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는 두
갈래
로 진행된다. 하나는 뇌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차이를 관찰하는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유전적 요인이 동성애에 영향을 미치는 증거를 찾아내는 연구이다.1991년 8월 영국 태생의 신경과학자인 사이먼 리베이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2
궁전에는 1775년까지 나무가 빽빽한 숲 속에 유명한 미로가 있었다고 한다. 여러
갈래
길이 그물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었고, 구석과 십자로에는 이솝우화에 나오는 인물들의 모습을 한 39개의 분수가 있었다.유럽 궁전에는 미로 정원 외에 '비밀 정원'도 있다. 그러나 이 정원은 말처럼 비밀스럽지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한다 가느다란 세포가 길게 일렬로 연결된 것으로 곰팡이 종류에서는 여러
갈래
로 갈라져 실처럼 엉켜 있다 가령 솜사탕을 연상해 보자 설탕을 재료로 하여 뽑아낸 가느다란 실을 이리저리 엉켜 놓은 것이 솜사탕이라는 하나의 덩어리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곰팡이의 몸체도 설탕에서 뽑은 ... ...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8번째 시조새 화석
과학동아
l
199610
그는 “이전까지의 시조새는 단지 파충류로부터 진화하는 과정에서 특수하게 적응한 한
갈래
일 뿐”이라고 설명하고 “이번에 발견한 시조새가 진정한 직계 조상”이라고 주장했다. 후교수는 이를 공자새(孔子鳥)라고 명명했다.공자새 화석은 1994년 요녕 지방에서 농민들에게 발견됐다. 처음에는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