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뉴스
"
진행
"(으)로 총 16,9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광양시와 인재 양성 및 신산업 육성 위한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기조연설과 머크사의 기업 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인 M벤처스에서 투자 관련 특별강연도
진행
한다. 실질적인 투자 협의와 사업 협력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바이오·헬스케어 스타트업과 국내·외 투자자들의 1:1 미팅과 네트워킹 시간도 마련된다. 행사는 KAIST 창업원 유튜브 채널에서 13일 오후 1시부터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경험하거나 통증 이후 쾌락을 경험할 때 감정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감정의 부호 및 강도 예측을 넘어 통증과 쾌락 경험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뇌 반응을 비교해 뇌가 어떻게 통증과 쾌락 경험을 통합하고 조절하는지를 더 자세히 이해하겠다는 목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보이는 청소년을 선정한 뒤 탁한 수정체를 빼내고 인공수정체를 넣는 백내장 수술이
진행
됐다. 신하 교수는 붕대를 풀고 처음 세상을 본 아이 또는 청년들의 시각 능력 획득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양극단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백내장 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신생아 때 시각 ... ...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연구팀은 최첨단 레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단일 주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연구를
진행
했다. 연구팀은 레이저 펄스 내 전기장의 형태를 정밀 제어해 일정하게 유지했다. 그 결과 단일 주기에 가까운 레이저 펄스가 생성됐다. 단일 레이저 펄스를 활용하자 SFPEH로 생성한 홀로그램을 흐릿하게 ...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성공률 높인다…이식세포 사멸 원인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가능한 도파민 전구세포를 제작해 현재 12명의 미국 파킨슨병 환자에게도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에게 이식한 줄기세포가 사멸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며 “이로부터 순수 도파민 신경세포의 이식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임상 적용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시작해 2025년까지 GIST-MIT AI국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이 프로젝트는 `인간 중심의 물리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인간 컴퓨터-상호작용(HCI)+인공지능(AI)'을 주제로 올해 연구협력 2단계에 진입했다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쌍둥이를 낳고 성공적으로 길렀다는 점이 독특한 점이라 그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됐을 것"이라고 했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돌아간 이유도 판다 연구를 위해서다. 성 성숙이 일어나는 만 4살이 되면 종번식을 위해 중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판다는 근친교배를 막기 위해 중국이 혈통과 번식 ...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CDMA 상용화 기술 IEEE 마일스톤 등재 기념 동판 현판식에서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왼쪽)과 방승찬 ETRI 원장. ETRI 제공 1996년 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코 ... ETRI 7동 명예의 전당에 CDMA 상용화 기술 IEEE 마일스톤 등재 기념 동판을 다는 현판식도
진행
됐다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이같은 장점을 우주망원경 첨단외은하조사(JAD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
됐다. 연구팀은 1년 간격으로 관측한 여러 장의 이미지를 비교해 관측된 밝기가 달라진 물체를 확인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현상은 초신성의 증거다.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약 80개의 초신성을 새롭게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있을 것으로 기대돼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기존 스커미온 연구는 3차원 자석 위에서
진행
됐다. 2017년 2차원 자석이 최초로 보고된 이후 2차원 환경에서도 스커미온 연구가 폭넓게 이뤄졌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왼쪽)과 황찬용 책임연구원이 2차원에서 구현한 스커미온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