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표"(으)로 총 2,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항, 중저주파 지진 때문에 피해 더 컸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7
- 결과 이 지역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활성단층이 있다는 사실 또한 밝혀졌다. 지표면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그동안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 단층은 수직과 수평 양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는 단층으로 역단층성 주향이동단층으로 분석되고 있다. 동남권 지진을 일으키는 것으로 ... ...
- 진도? 규모? 지진용어...얼마나 알고 있나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약 900배 이상이 크다는 얘기다. ● 진도(seismic intensity) 지진이 일어났을 때 지표면의 흔들림을 나타내는 ‘상대적’ 인 정도를 말한다. 사람이 감지하는 느낌, 구조물들의 피해정도 등 전체적인 피해정도를 고려해 진도값을 산정하는데 때문에 진원, 진앙에 가까울수록 진도는 커지고, 멀수록 ... ...
- (상보) 포항에 역대 두 번째 강한 지진… 경주지진보다 진원 얕아 피해 우려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신고가 이어졌다. 실제로 전국의 지진 관측계에서 진동이 관측됐으며, 최대 진도(지표면에서 감지되는 진동)는 6.0으로 포항과 부산 지역에서 이처럼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진도 2.0 이상이 감지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P파보다 S파가 많은 전형적인 자연 지진”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상대적인 감마(RG)’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RG는 스트레스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크다는 뜻이다. 참가자들은 처음 6분 동안 문제풀이를 하면서 RG가 올라가는데 먼저 파란빛 방에서 휴식을 취한 그룹(G1. 파란선)이 백색광 방에서 쉰 그룹(G2. 검은선)에 비해 ... ...
- [카드뉴스] 낭만과 함께 등대도 사라지는 걸까동아사이언스 l2017.11.12
- 도와주는 안전장치이죠. 해가 진 후 칠흑같이 어두운 밤바다에서 등대 불빛을 지표로 선박의 방향을 잡아주고 암초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등대의 빛은 주변으로 퍼지기보다는 멀리까지 잘 도달하는 직진성이 중요합니다. 등명기라는 조명기구의 주위를 프레넬(평면) 렌즈로 감싸 ... ...
- [카드뉴스]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11.07
- 어린 가로수는 뿌리가 지하수에 닿지 못해 살기 어렵습니다. 지하수가 충분해도 지표면과 지하가 단절돼 물을 공급받지 못하기도 합니다. 도심의 인공열은 기온을 상승시켜 습도를 더 낮춥니다. 지난 100년간 서울의 평균 기온은 세계 평균 기온 상승폭의 두 배가 넘는 2℃ 이상 올랐습니다. 평균 ... ...
- [이달의 사물] 뽀로로과학동아 l2017.11.06
- 영상으로 설명한다. 수술 전 VR 영상을 시청한 소아환자 34명의 마취 전 불안감 지표는 31.7점으로, 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35명(5.17점)보다 40% 감소했다. 한 교수는 “소아환자의 수술 전 불안감 감소를 위해 진정제 등 약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한 호흡억제, 마취시간 연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 ...
- 존 홀드렌 前 백악관 과기보좌관 “과학기술 믿고 탄소감축 미루면 위험”동아사이언스 l2017.11.01
- 추세를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 간 기후변화 협의체(IPCC)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표면과 해수면의 평균온도, 평균 해수면 높이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진 반면 같은 시기 북반구를 덮은 눈의 양(봄철 기준)은 현저히 줄었다. 이는 인류가 산업화를 겪은 기간과 정확히 일치한다. ... ...
- 지구에서 화성으로 여행을?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3강 열려어린이과학동아 l2017.10.28
- 비교하며 시연하자 객석에서는 어린이들의 환호가 쏟아졌다. 조남석 소장은 “드론은 지표면을 직접 다니는 로봇보다 장애물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화성 탐사를 위해 중요한 장비로 꼽힌다”며, “화성의 환경을 고려해 배터리가 적게 들고, 활주로가 필요 없는 헬리콥터형 드론으로 ... ...
- “北 핵실험으로 풍계리에 지름 100m 싱크홀 발생”동아사이언스 l2017.10.27
-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기상연구사는 “핵실험 전후인 8~10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표 변이가 없었으며, 화산 분화의 전조 증상도 발견되지 않았다”면서도 “화산 분화는 급작스럽게 진행될 수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향후 위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백두산 지역을 관측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