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뉴스
"
일도
"(으)로 총 51,63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증 겪은 청소년, 성인 되면 기억력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왼쪽부터) 김진호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교신저자)와 장하윤 연구원(제1저자). 고려대 제공. 청소년기에 경험한 우울 증상이 성인 이후 인지 건강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는 김진호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가 캐나다 토론토대와 공동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우울 ... ...
과학기술 정책에 청년 의견 담는다…2기 과기정통부 2030자문단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20일 세종시 과기정통부 6층 복합 커뮤니티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기 2030 자문단' 출범식.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정책 결정에 자문을 하는 청년 자문단이 출범했다. 이들은 상시 과기정통부에 정책 제안을 하며 정책에 청년들의 수요를 담을 예정이다. 과 ... ...
근육에 지방 많으면 말라도 심장병 위험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근육에 지방이 많이 쌓인 사람은 체중과 무관하게 심장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근육에 지방이 많이 저장돼 있으면 체중과 상관없이 심장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체중을 기반으로 한 체질량지수(BMI)가 심장병 위험을 평가하는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DNA 손상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DNA 복제 과정이 중단되고 손상 부위를 우회하도록 하는 신호가 발생한다. 도로를 복구할 때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우회하도록 표지판을 두는 것과 비슷하다. 이후 DNA가 복구되면 우회 신호가 종료돼 정상적인 DNA 복제 과정이 재개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전물질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쓴맛과 단맛을 느끼는 신경세포 간에 일어나는 전기장 억제경로를 발견한 한국뇌연구원 연구진. 왼쪽부터 이민혁 박사후 연수연구원, 강경진 책임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쓴맛과 단맛을 느끼는 신경세포 간에 일어나는 전기장 억제 경로를 발견했다. 커피와 같이 쓴맛이 나는 식 ... ...
AI 유전자편집기·바이오봇…올해 첨단바이오 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2025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인포그래픽. 과기정통부 제공 올해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로 기존 유전자 편집(교정) 도구 한계를 극복하는 '인공지능(AI) 유전자 편집기', 스스로 이동하며 동맥을 청소하고 약물을 전달하는 '바이오봇' 등이 꼽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 ...
스트레스로 생긴 혈관 내 세포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만성 스트레스 위험에 따른 혈관 변화를 잡아내는 기술을 나타낸 모식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트레스 위험에 따른 혈관 내 면역세포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스트레스 관련 심혈관 질환 발병 메커니즘을 자세히 알고 치료법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 ...
"LA 산불·뉴욕 폭설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왼쪽부터) 이주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에너지공학부 박사과정생, 윤진호 교수. GIST 제공.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로스앤젤레스(LA) 산불 및 뉴욕 폭설이 지구온난화와 연관이 있다는 근거가 제시됐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북반구 중위도 지역의 가뭄, 폭우, 한파 등 극한 기상현상은 ... ...
전량 수입 의존 투과전자현미경 국내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투과전자현미경(TEM) 시스템 개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 양성광 KBSI 원장과 전정범 엠크래프츠 대표. KBSI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이 개발한 투과전자현미경(TEM) 시스템 개발 기술이 국내 기업에 이전돼 TEM의 국내 상용화가 빨라질 전망이다. KBSI는 전자현미경 개발 및 제조 기업 '엠 ... ...
항생제 안 듣는 '슈퍼세균' 감염 연간 4만명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항생제 내성 세균에 감염되는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세균인 ‘슈퍼박테리아’ 감염 환자 한 해 발생이 4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카바페넴 내성 장내 세균(CRE) 감염증’ 신고 건수는 총 4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