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2,0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패치 붙이자 피부세포가 혈액세포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8
연구진이 개발한 패치를 손목에 올린 채 형질전환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오하이오주립대 제공 살아있는 생명체의 피부세포를 수초 안에 다른 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미국 연구진이 개발했다. 부작용을 줄인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로 이어지리란 기대다. 찬단 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팀은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타란툴라의 독을 투여했을 때도 정상 쥐가 용자로 거듭남을 발견했다. 웨미 연구원은 “
약물치료
를 통해 선천적 공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 ...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당뇨병 환자가 눈에 끼는 것만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 실용화에 나섰다. 구글도 혈당 측정 렌즈를 개발 중이지만 실시간 측정은 아직 구현하지 못했다. 한세광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혈당을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콘 ... ...
[퀴즈] 물리적 거세는 화학적 거세보다 효과가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GIB 제공 정부가 몰카범이나 강도강간미수범까지 '화학적 거세'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하면서 화학적 거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화학적 거세는 약물을 통해 성충동을 억제하는 치료 방법으로 약물 투입 후 2주 이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죄질이 안 좋은 성 ... ...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장기, 실제와 얼마나 유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메디컬그래픽스 제공 신약 평가 등을 위해 만든 인공 장기가 실제 장기와 얼마나 유사한지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됐다. 인체 조직과 더 비슷한 인공장기 개발이 가능해지리란 기대다. 조현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단 선임연구원 팀은 간 유사체의 분화 수준 및 ... ...
인류는 전염병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방진마스크를 뒤집어 쓴 채 방역에 열중한 사람의 모습이 등장했다. 전염병은 인간 사회를 위협한다. 국제 사회는 전염병을 줄이기 위해 예측 및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 ... ...
목숨 위협하는 패혈증, 나노 입자로 생존률 2.5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2
패혈증에 걸리도록 만든 실험용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세리아-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정맥 투여했다. 그 결과, 합성 나노입자를 투여 받은 쥐는 2주간 100% 생존했다. 이는 합성 나노입자를 투여 받지 않은 쥐에 대비해 2.5배 높은 생존율이다(왼쪽). 패혈증 쥐의 간과 폐의 조직을 촬영한 ... ...
[카드뉴스]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8
우리는 잠버릇을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죠. 그렇지만 잠버릇이 건강을 해치거나 질병이 있음을 알려 준다면 한번쯤 눈여겨볼 일입니다. 코골이 일반 성인의 10-30%는 코를 곱니다. 코골이는 수면 중에 좁아진 기도의 틈으로 숨이 빨리 빠져나가면서 주변조직이 진동하며 나는 소리입니다. 잘 ... ...
스마트폰 두뇌게임, 치매초기 환자에겐 40% 기억력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7.07.05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이 개발한 두뇌게임 애플리케이션(앱) ‘게임 쇼’. 화면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난 다양한 기하학 패턴을 기억하는 게임이다. 이 게임을 한 치매초기 환자들은 일화기억 등 기억력이 40%가량 향상됐다. - 케임브리지대 제공 잦은 건망증 등의 증세를 보이는 치매 초기 ... ...
[카드뉴스]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2
마약은 자기통제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강력한 욕구를 불러일으킵니다. 자신에게 해가 될 것을 알면서도 약물에 탐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약 60년 전 과학자들은 쥐의 뇌 특정부위를 전극으로 자극하자 음식 섭취와 교미 기능이 퇴화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음식 섭취나 교미 행위를 하지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