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요소
성분
처소
소재지
위치
뉴스
"
소재
"(으)로 총 4,87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GIST, 반도체 표면에서 초고속 전하 움직임 실시간 추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크기를 줄이지 않고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에 성공했다. 반도체 기반 초고속 나노 광
소재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17일 국제학술지 '응용표면과학' 온라인판에 실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6일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문가 양창덕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동시해 해결한 핵심
소재
를 독자적으로 개발한 데 의의가 있다”며 “한국의 유기반도체
소재
분야의 기술력을 높이고 차세대 태양전지의 상업화를 가속화 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연구개발자를 ... ...
[과학게시판]한양대박물관, 거대강입자가속기 가상투어 프로그램 마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원료를 개발했다. 3D프린팅의 제한된 원료와 높은 유지비용 때문에 원료의 다양화를 위한
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계속 강조돼왔다. 기존에 원료입자의 복합화와 원료파우더 결합방법의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으나, 연구팀은 분쇄된 개별 광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후 분쇄장비를 이용해 추가 분쇄와 ... ...
[주말N수학]미네르바대 학생이자 '미네르반' 작가가 알려주는 수학 공부법
수학동아
l
2021.10.02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며 "수학동아에는 ‘이게 수학과 관련된 내용인가?’ 싶은
소재
도 수학과 연관시켜 쉽게 쓰여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수학을 생활 속에서 친근하게 느끼고 적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그는 학생 때는 수학을 재미있게 공부하기 위해 수학동아를 봤고, ... ...
[과학게시판]재료연 이정환 원장, 경남대 석좌교수 위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바 있다. 이 원장은 1일부터 경남대 신
소재
공학과 석좌교수로 부임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소재
부품 분야를 이끌어나갈 우수 인재와 후학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기상청은 1일 아시아 지역 6개국 26명의 실무예보관 등을 대상으로 '외국인 기상예보관 과정'과 '외국인 기상레이더 자료 활용 능력 ... ...
팔꿈치 움직임 등으로 센서 동력 공급 생체 발전기 개발
연합뉴스
l
2021.10.01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팀은 단단한 합금뿐만 아니라 부드럽고 유연한
소재
에서도 이런 자기탄성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해 응용했다. 종이 두께의 실리콘 매트릭스에 미세 자석을 설치하고 매트릭스가 움직일 때 자기장 세기가 변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개념을 ... ...
KIST 제1호 펠로우에 미세먼지 제거촉매 전문가 하헌필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선정됐다.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30일 펠로우 제1호 연구자로 하헌필 극한
소재
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펠로우 제도는 탁월한 연구 업정과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 기관 차원의 인정과 예우를 제공해 자긍심을 고취하고 지속적 연구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지난 4월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문가 석상일·박남규 교수 영국 '랭크상'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정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한다.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값싼
소재
를 활용하고 저온에서 용액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석 교수는 독자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조를 기반으로 전지의 효율 향상 연구를 주도했다. 현재 ... ...
뱀 비늘 본딴 유연한 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움직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내부 전지
소재
변형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적용했다. 크기가 작은 개별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형상도 최적화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배터리 구조의 핵심은 배터리 셀과 연결부 형상 설계다. 리튬 ... ...
KAIST “솔루션 필요한 기업 회원 모십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기업리스크 헤지용 ‘비지니스 시뮬레이션’ 등이다. 이건재 산학협력센터장(KAIST 신
소재
공학과 교수)은 “ILP을 통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AI와 소부장 분야의 강소기업을 육성해 국익 창출에 기여하려고 한다”며 “ILP의 고객인 기업 회원을 만족시키기 위해 운영 중 내부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