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뉴스
"
공기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줄었다 늘었다 몸 길이 17.5배 느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플라스틱(PET), 가는 끈(와이어), 모터 1개만으로 구성돼 있어 전체 로봇 팔 무게가 밥 한
공기
를 조금 넘는 250g에 불과하다. 하지만 누르는 힘(압력)에 강해서 자체 무게의 48배인 12kg짜리 물체를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견딜 수 있다. 조 교수는 “압력에 약하다는 기존 종이접기 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 ...
[타보니] 우버 자율주행 차량, "운전 자연스럽지만 법규 준수는 '답답''
2018.03.12
작동 소리라고 한다. 카메라와 센서에 눈이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강한 압축
공기
로 씻어내는 것이다. 도로는 마치 사전에 짠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뜻밖의 돌발 상황이 꽤 많이 일어났고 도로 사정도 좋지 않았다. 피츠버그의 도로 환경은 대체로 자율주행 차량에 친화적이진 않다. 특히 시승했던 ... ...
[짬짜면 과학 교실]
공기
로 짠 양탄자
2018.03.10
겅중겅중 뛰어다녀도 옆에 있는 우주인에게 그 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 이처럼 소리는
공기
가 있어야 퍼져 나갑니다. 산에서 크게 울려 퍼진 소리는 앞산에 부딪혀 메아리가 되어 되울려 옵니다. 반면에 작은 소리는 음파가 약해 멀리 가지 않습니다. 그렇듯 소리에도 규모가 있습니다. 소리의 크고 ... ...
‘봄인데…’ 겨울 강추위보다 괴로운 꽃샘추위, 왜?
동아사이언스
l
2018.03.08
특히 교실과 사무실 등은 더 추울 수밖에 없다. 사람이 없는 밤사이 난방을 끄면 건물 내
공기
가 차갑게 식기 때문이다. 오전에 난방을 시작하더라도 계속해서 열고 닫는 문과 창문을 통해 열기가 빠져나가, 실내 온도가 쉽게 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난방으로 인해 건조하고, 기온까지 낮은 ... ...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18.03.06
주목했다. 기존 기술처럼 얇고 투명한 막에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로
공기
중 부유입자의 움직임을 조종하면서 동시에 입자가 산란시킨 빛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의 영상을 만들었다. 부유입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 ...
쉿! 슈퍼 컴퓨터가 조용한 에어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에어컨에서 발생한 열을 밖으로 빼내는 대형 팬이 들어있다. 팬이 돌아가면서 발생하는
공기
흐름이 바람과 소음을 만든다. 팬을 잘 만들면 풍량이 크면서도 소음이 적은 실외기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실험하는 것으로는 원하는 팬 형태를 만들기 어렵다. 대규모 슈퍼컴퓨팅을 이용해 ... ...
필터 없이
공기
중 바이러스 잡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VOC)을 분해하는 데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장 교수는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기
청정기술 분야 국제 학술지 ‘에어로졸 과학 및 기술’ 2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써보니] 비싼 가격에도 애플의 새 '아이맥프로'가 주목받는 이유
2018.03.01
조금 다르다. 열 문제 때문이다. 히트싱크를 곳곳에 붙이고, 냉각팬의 용량을 늘려서
공기
흐름은 75%를 늘렸다. 일반 아이맥 시스템보다 80% 정도 더 높은 온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됐다. 팬 소음은 일반 아이맥 수준으로 조용하다. 극단적으로 조용한 맥프로의 팬 소음과 비교하면 조금 날카로운 ... ...
봅슬레이 은메달의 비결은? 최첨단 ‘과학 썰매’
과학동아
l
2018.02.25
최대한 줄이는게 관건이다. 선수가 탑승한 부분으로
공기
가 들어가서 생기는 와류도
공기
저항을 높이는 요소 중 하나다. 현대차 연구팀은 3차원 입체 스캐너로 두 선수의 체형을 측정해 봅슬레이 설계에 반영했다. 실물 풍동 테스트에서도 두 선수의 마네킹을 제작해 탑승석에 바람이 들어가지 ... ...
저개발국 쌀 문제 해결하는 '착한' 비료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4
만들어진다. 이 비료를 쓰면 식물의 생산성은 높아지지만 물 속으로 유출되거나
공기
중으로 휘발될 때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도 무시할 수 없었다. 우리가 먹는 대표적 곡물인 쌀이나 밀은 비료에 섞인 질소들을 40%정도만 이용할 뿐이다. 나머지 질소의 일부를 미생물이 사용하긴 하지만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