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작
작업
작용
움직임
직업
뉴스
"
가동
"(으)로 총 1,8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법 없는 ‘사용후 핵연료’ 처리… 고리원전 2016년부터 포화
동아일보
l
2015.04.24
연료를 태울 새로운 원자로)에 대해선 아직 개발 검토도 하지 않은 상태다.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3기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는 매년 750t. 처분 방식이 정해지지 않아 원전 내외부 임시 저장수조와 건식 보관용기에 쌓아두고 있다. 내년 고리원전(부산 기장군)부터 포화가 시작된다. 저장 간격을 ... ...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 ‘파이로프로세싱’ 전과정 허용 땐 국내 핵연료 공급에 숨통
2015.04.23
발전하고 남은 연료 찌꺼기에도 우라늄 등 핵물질이 많이 남아 있어 재처리 공정만
가동
하면 사용후 핵연료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것이 파이로프로세싱(Pyro-processing·건식 재처리)의 핵심 개념이다. ● 순수 플루토늄 추출 안 되는 파이로프로세싱 그간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에는 ‘퓨렉스(PUREX ... ...
면역세포도 ‘착한’ 미생물 편만 들어
2015.04.22
대표적인 몸에 유익한 장내미생물인 유산균. - 서울여대 제공 지독한 감기몸살로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한 뒤에 복통이나 설사에 시달리는 경우가 있다. 항생제가 우리 몸에 해가 되는 미생물 뿐 아니라 유용한 장내미생물까지 파괴하면서 장내미생물 생태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 양신 ... ...
‘신의 입자’ 찾은 가속기 ‘시즌2’ 시작
2015.04.10
중”이라면서 “이르면 6월 본격적인 실험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LHC가 본격
가동
되면 양성자 빔은 빛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기를 따라 초당 1만1125바퀴를 돌고, 이 과정에서 초당 6억 개의 입자를 생성한다. 이때 이동한 양성자 빔의 거리는 100억 km 정도로 지구와 해왕성 사이를 왕복하는 ... ...
“1986년 1월호 과학동아 특집기사는 뭐였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3
7600만 달러를 들여 1978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10개의 레이저 발진기 중 8개가
가동
하고 있다. 보기는 언제 작성된 기사의 일부일까요? ① 1986년 4월 ② 1996년 6월 ③ 1999년 10월 ④ 2003년 1월 1. 응모방법 : D라이브러리 접속 -> 이벤트 팝업창에서 이 주의 퀴즈 풀기 -> 댓글란에 정답과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지름이 클수록 빛을 더 많이 모으고, 천체를 더욱 자세히 분간할 수 있다. 2021년부터
가동
을 시작할 GMT의 모습. 위쪽에 달린 작은 거울 7장이 우리나라에서 만들 부경이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깎고 다듬고 입히면 반사경 완성! 반사경에 대한 기본 설명을 들은 두 기자는 연구동으로 직접 ... ...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악천후에서도 탐색이 가능하며 건물에서 뿜어져 나오는 각종 열도 탐지할 수 있어 공장
가동
여부를 알아볼 수 있다. 화산 활동 감시 등 지구 탐사 연구에도 쓸 수 있다. 적외선 센서의 해상도는 5.5m로 적외선 우주 카메라 중에선 세계적인 성능으로 꼽힌다. 같은 적외선 탐지 기능을 갖춘 미국의 ... ...
소나무 재선충병 마지막 방제 현장에 가다
2015.03.27
등 주요 지역은 재선충병을 상시 모니터링해 피해가 발생하면 바로 방제 시스템을
가동
할 계획이다. 재선충병이 발생한 지 100여 년이 된 일본은 신사 등 주요 지역을 이렇게 특별 방제하고 있다. 과학동아 4월호에서는 재선충병의 발생 과정과 국내 주요 재선병충 발생 지역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 ...
4D 프린팅이란? “물체가 스스로 조립된다는 점에서 3D 프린팅보다 한 단계 진화”
동아닷컴
l
2015.03.16
2007년 미 국방부 산하 고등방위연구계획국(DARPA)은 자기조립 연구에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가동
했고, 2010년 우드 교수팀은 스스로 접히는 전자종이로 배나 비행기를 만드는 데 성공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현재 자기조립 기술은 더 정교해져 암 치료에까지 활용 폭을 넓히고 있다.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ESO/L.Calcada 제공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년 전 네덜란드에서 첫 등장한 굴절망원경을 더 높은 배율로 개량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이 망 ... 연 거대망원경의 활약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다. GMT가 모을 수 있는 빛의 양은 지금
가동
중인 ‘켁 망원경’의 6배에 달한다. - ⒸGMT 제공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