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착수해 제주도에서 LA까지 약 1만km라고 가정한다면 시간이 얼마나 소요될까. 하루에 최대 15m를 뚫는다고 해도 대략 1800년이 넘게 걸린다. 두 번째 변수는 해구와 지진 조산대의 활동이다. 제주도에서 태평양 방향으로 터널을 뚫기 시작하면 지구상에서 가장 수심이 깊은 마리아나 해구까지는 ...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만나 보는 건 어떨까? 1979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로 선정된 공룡주립공원은 세계 최대 규모의 공룡 화석 채굴장이다. 약 7500만 년 전 백악기 지층에서는 ‘뼈 무덤’이라 불릴만큼 무수한 어류, 거북류, 양서류, 유대류의 화석들도 발견되고 있다. 이 곳은 최후의 공룡이 살았던 지역으로 알려져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순간 최대 출력은 무려 1PW(페타와트, 1000조W)에 이른다. 미국에서 192개 레이저로 만든 순간최대 출력인 441테라와트보다 2배 이상 더 강하다. 하지만 펨토초 레이저를 연료 캡슐에 그대로 발사할 수는 없다. 레이저가 연료캡슐을 압축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왜 그럴까. 펨토초 레이저는 ...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유치 경쟁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전파망원경의 적은 사람이다. 정확히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파다. 휴대전화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전파는 먼 우주로부터 오는 전파를 측정하는데 커다란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야간 조명이 밝은 도시에서 별을 관찰하기가 힘든 것과 같은 이치다. 이 때문에 호주와 남아공은 자국의 후보지역이 상 ...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각 과목 I, II 전체 8개 과목에서 최대 세 과목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14학년도 수능(현재 고2)부터는 두 과목으로 축소된다. 이렇게 과학과목이 축소되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은 과학탐구영역(이하 과탐)이 대학입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지구보다 지름이 큰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 수 있다. 라디오아스트론은 지구에서 최대 39만 km까지 멀어지므로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만큼 큰 망원경과 같은 효과를 낸다.지난 23년 동안 우주망원경은 천문학자들의 귀중한 눈이었다. 중요한 성과도 많이 이뤄냈다. 여기에 맛 들인 천문학자들이 과연 ... ...
- 해상 풍력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4호
- 大勢)’라고 한다. 처음 세워진 해상풍력 발전기 1대가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전기는 최대 450KW(킬로와트, 1KW는 1000W). 지금은 하루에 3MW(메가와트, 1MW는 100만W)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있다. 010년 기준 전세계에 있는 해상풍력 발전기가 하루에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은 2. ... ...
- [4월] 이슈 키워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정찰기 레이더로 추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600t)에는 최대 1024km 밖의 목표물 1000개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가 탑재됐다.하지만 우리나라가 직접 요격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우리나라의 미사일 요격 능력은 저고도 미사일에 국한됐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중략…) 유리렌즈는 유연성이 없어 초점을 맞추려면 렌즈 자체를 움직여야 한다는 최대의 약점을 안고 있다. 물은 두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물로 렌즈를 만들면 초점을 맞추기에 편하다. 그런데 어떻게 물의 두께를 바꿀까. 과학자들은 ‘일렉트로웨팅’현상에 주목했다.➋ ...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확연히 달랐다. 비가 적게 내리는 북쪽에서는 1~2m에 불과했지만 비가 많은 남쪽에서는 최대 12m에 달하기도 했다. 각 섬에 사는 거북은 모습이 조금씩 달랐다. 가까운 제도 안에서도 확연히 달랐던 생물들은 다윈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고, 다윈은 20년이 넘는 끈질긴 노력 끝에 자연 선택에 의한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