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탄소를 사이좋게 나눠 쓰는 나무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포함되어 있답니다.보통 탄소원자들은 모두 같은 무게를 가져요. 하지만 이 중엔 무게가
조금
다른 탄소원자도 있지요. 무게가 다른 탄소를 ‘13C’라고 부르며, 이 탄소를 꼬리표처럼 사용하면 주변 탄소의 움직임을 알아낼 수 있답니다. 연구팀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40m짜리 ‘독일가문비나무’와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조절하는 것이다. 가상현실은 실시간으로 빠르게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계산 정확도가
조금
떨어지더라도 상황에 맞는 소리를 구현하는 게 중요하다.게임이나 가상체험을 한다면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소리를 녹음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런데 소리가 중요한 뮤직홀, 미세한 소리도 감지해야 하는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수학자의 길을 걸으려는 여성들의 고충에 대해 이야기했다.“엄마가 되면 손에서 공부를
조금
놔야 되는 순간이 와요. 아직 사회적인 지원 시스템이 충분하지 않거든요. 저도 집에 빨리 가야 되니까 1분 1초도 놓치지 않는다는 기분으로 살고 있어요. 휴대폰 게임도 하지 않고, 아이들이 자는 시간에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경쟁을 벌였다. 자신과 목표가 같은 것들만 가려서 상대하는 것이다. 주어진 자원을
조금
이라도 더 얻기 위해서는 한 끗이라도 더 앞서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전략 2 놀라운 번식력 : 끈질기게, 재빠르게자연 환경에서 식물이 경쟁한다는 것을 알아채기란 힘들지만, 외부에서 들어온 침입종과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공법은 지지 기둥을 잘라야 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달라지면 측면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조금
더 상상력을 발휘해 수십 년 뒤 63빌딩을 좀 더 효율적으로 철거할 방법은 없을까. 많이 거론되는 꿈의 기술은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현재로서는 건물을 절단하려면 절단기를 이용하거나 폭약을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사이에 끼어 재밌게 놀고 있었다. 고학년 반은 에너지의 개념과 디스플레이의 종류 등
조금
더 어려운 내용을 다뤘다. 형, 누나답게 모두들 점잖게 앉아 열심히 듣고 배웠다.20분가량의 이론 수업이 끝난 뒤에는 두 반이 다시 모여 본격적인 체험 활동을 시작했다.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한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한 대학에서공부하고 있는 새터민 B씨는 “한국에서는 시험 문제에 객관식이 있어서
조금
쉬운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중등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 새터민★ 탈북이주민을 뜻한다.] 국제화의 조짐을 보이다그런 북한의 수학 교육도 바뀌고 있다. 2002년 개정한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충격으로 암석처럼 커다란 물체 일부가 떨어져 나와 성이 될 수도 있고, 작은 먼지가
조금
씩 쌓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추리의 경우는 후자였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로제타가 보내온 추리의 토양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밀도가 낮고 멍과 층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단단한 암석에서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좋은지 오전 11시에 무사히 독도에 도착했다. 그러나 본격적인 고생은 내려서부터였다.
조금
씩 깎여나가는 우리의 독도“여기 없는데요? 갈매기가 여기에 굴을 파놨어요!” “5cm만 내려가 보세요!” “없어요!” 서도의 암벽을 20분 넘게 기어오르던 지질연 지구환경연구본부 송영석 책임연구원과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삐뚤어진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을 하기도 한다. 잡지를 보고 있는 독자라면 팔을 쭉 뻗어
조금
멀리서 브뤼헐의 그림을 살펴보자. 한쪽으로 기울어진 듯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기우다. 브뤼헐의 건물은 구조적으로는 매우 안정돼 있다. 이중원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는 “경사로를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