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빛이 너무 밝아 똑바로 바라보기도 힘들더군요. 태양을 맨눈으로 보면 위험하다는 점 아시죠?그렇게 힘들게 촬영한 결과물은 충격적이었습니다. 태양의 형체는 온데간데없고, 화면이 온통 뿌옇게만 보였습니다. 전문 장비를 구매하고 싶은 욕구가 샘솟았지만, 이렇게 포기할 과학동아 기자가 ...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눈에 띄기가 쉽지 않고, 좋은 대학원이나 회사일수록 최소한으로 충족해야 하는 학점의 기준이 높아 성적을 일정 수준 유지할 필요가 있다.캘리포니아공대에서 강의 위주의 수업만 듣는다면 할 일이 이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숙제는 어쨌든 주어진 문제만 풀면 되기 때문에 끝이 정해져 있다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채울 수 있는데 정십이면체는 오각형으로 이뤄져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없거든. 이 점이 다른 결과를 만든 거지. 답만 보면 간단해 보이지만 이걸 엄밀히 밝히는건 결코 쉽지 않은 증명 과정이 필요했어. 하지만 그 덕에 나는 마음 놓고 행성을 달릴 수 있게 됐지! 너희도 나머지 30가지 경로가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장기 조직만 놓여있는 셈이라 혈관이나 면역세포 등에 둘러싸인 실제 생체 조직과 다른 점도 있거든. 예를 들어, 배양액 안에서 키우는 장 오가노이드에 성장을 유도하는 물질을 넣을 경우, 이 물질이 배양액 안에서 확산되며 오가노이드로 들어갈 거야. 그런데 이때, 오가노이드 속 세포에 따라 성장 ... ...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물과 음식을 구하기 쉬운 조건, 먼바다에서 접근하기에 편하고 배를 대기에도 좋은 이점, 여기에 유적에서 발견된 많은 외래 유물까지. 고고학자들은 이런 증거를 통해 2000년 전 늑도가 여러 문명의 사람들이 거쳐간 국제 항구라고 결론 내렸어요. 한반도는 물론, 가깝게는 일본과 중국, 멀게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감염병 환자가 격리되는 ‘음압병실’은 일반 병실과 어떤 점이 다른 걸까요? 음압병실은 병실 안의 기압을 주변보다 낮게 만든 공간이에요. 환자가 치료받는 과정에서 병원 안의 다른 환자나 의료진이 추가 감염되는 것을 막고, 지역사회로 전염병이 확산되지 않도록 ... ...
- [진로체험] 온라인에 남긴 흔적 찾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있으면 어떤 방법으로든 데이터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데이터 분석에 어려운 점은 없나요?프로그램 개발이라는 것이 언제나 완벽할 수는 없어요. 항상 어딘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미리 대비해야 하죠. 기록도 철저히 해놓고요. 예상치 못하게 오류가 나면 기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문제가 남아 있었다. 대부분의 비만 환자에게 렙틴을 투여해도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었다. 또 비만한 사람에서는 대부분 렙틴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현재 학계에서는 이를 ‘렙틴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비만일수록 렙틴이 결합하는 수용체에 변화가 ... ...
- 미 NC와 NC 다이노스, 연결고리는 공룡?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드디어 첫 번째 배트 플립(bat flip)이 나왔습니다!”5월 5일, 한국프로야구(KBO)리그 NC 다이노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개막전. NC의 타자 모창민 선수가 홈런을 ...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팀의 공룡 연구가 한국 대중에게 갑작스럽게 관심을 끌게 된 점이 매우 흥미롭다”고 덧붙였습니다 ...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나노입자의 기하학적 패턴을 완벽하게 구현하기란 쉽지가 않았다. 연구자도 나도 점점 지쳐갔지만, 사흘 뒤 마침내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반복되는 각도와 규칙을 찾았다. 연구자의 가설이 그림으로도 증명되는 순간이었다. 연구 결과는 올해 1월 1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렸고, 그때 만든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