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필로그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김광석 거리, 대구 수목원과 서문시장에 가면 진귀한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관광객 사이로 학생들이 저마다 스마트폰을 들고 수학 문제를 풀고 있거든요. 대구 지역의 초·중학교 선생님이 머리를 맞대고 만든 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자연스럽게 대구의 역사도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만 있으면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것이었다. 내용을 살펴보니 로켓의 비행궤적이었다. 전문 연구원들이 계산을 하는 사이 또 다른 정부기관으로부터 동일한 요청이 들어왔다. 북한이 대포동 1호를 발사한 바로 다음 날이었다. 대포동이 불붙인 과학로켓 연구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인공위성을 우주로 올리기 위해 추진체인 로켓을 ... ...
- [시사과학]벚꽃 피는 시기, 점점 빨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그 결과, 벚꽃은 2011~2040년 사이엔 평균 4월 6일에, 2041~2070년 사이엔 3월 31일에, 2071~2100년 사이엔 3월 21일에 필 것으로 예상됐답니다. 각 시기별로 벚꽃이 피는 날짜가 이전에 비해 8일, 6일, 10일씩 앞당겨진 거예요. 게다가 연구 결과, 개화 날짜가 빨라지는 건 벚꽃만의 문제가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실 은하단 내에 은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단 1%에 지나지 않는다. 이외 9%는 은하 사이에 있는 고온의 플라스마 가스고, 나머지 90%는 암흑물질로 채워져 있다. 암흑물질의 정체는 여전히 모르지만, 은하단을 통과하는 빛을 보고 그 존재를 유추할 수는 있다. 빛은 무거운 물체 주변을 지날 때 물체의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감독의 ‘E.T.’는 이런 외계생명체를 다룬 고전으로 꼽힌다. 외계인과 지구의 소년, 소녀 사이의 우정을 다룬 이 영화는 1982년 개봉 후 미국 박스오피스 전체 1위를 기록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지구 바깥의 존재(The Extra Terrestrial)’를 뜻하는 ‘E.T.’는 자그마한 키에 주름진 얼굴, 커다란 ... ...
- [과학]행성 만드는 젊은 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별 주변에는 먼지 고리가 2개 있었어요. 안쪽 고리는 태양계로 따지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벨트 정도로 별과 떨어져 있고, 바깥쪽 고리는 해왕성 궤도 정도의 거리에 있지요. 또, 연구팀은 바깥쪽 먼지 고리에서 먼지가 뭉쳐 밝게 빛나는 곳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 부분이 태양계로 ... ...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리소스 등이 즉각 환영의 뜻을 밝히며 참여 의사를 밝혔고, 참여 기업은 2년 반 사이에 20개가 넘을 정도로 늘어났다. 초기에 참여를 밝힌 두 기업 외에 일본의 아이스페이스 등도 주력 파트너로 꼽힌다.슈나이더 부총리가 발표한 계획에는 ‘룩셈부르크 우주자원 계획 (SpaceResources.lu Initiative) ’ ... ...
- 질서┃마침내 별 등장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주는 점점 식어 수백K까지 떨어졌다. 이 사이 우주에 균등하게 퍼져있던 물질들 사이에 아주 미세한 불균형한 틈이 생기며 물질들은 중력에 의해 서로 뭉치게 됐다. 동시에 빅뱅 후 1000만~2000만 년 뒤 불현듯 나타난 암흑물질이 점점 우주를 메웠고, 암흑물질에 떠밀려난 기존 물질들은 더욱 ... ...
- 후보3. 소수의 비밀 열쇠는 닭의 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그 결과 X선이 산란하며 만드는 독특한 모양(회절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정 지점들 사이의 간격과 자연수에서 소수가 나타나는 간격이 비슷하다는 걸 알아냈죠. 이 분야 전문가들은 초균일성 연구가 소수 분포의 비밀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어요. 어때요? 이 정도는 ... ...
- 3차원에도 황금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란은 색과 질감, 그리고 모양이 같을 때 우리의 뇌는 정육면체 사이의 관계를 모서리 길이의 비에 따라 인식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먼저 크기 차이를 인식한 뒤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하는 과정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두 정육면체의 크기가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