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모든 종류의 탄화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응 생성물을
분리
하는 후처리 공정이 SMR보다 복잡하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하지만 천연가스나 석탄은 탄화수소가 주성분이기 때문에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밖에 없다. ... ...
저작권 지키는 숨은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콘텐츠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도 결코 제거할 수 없다. 워터마크는 콘텐츠와의
분리
불가능성을 기본 특성으로 갖는다. 이 외에도 워터마킹 시스템은 수많은 특성을 갖고 있는데, 각각의 특성은 적용되고 있는 콘텐츠에서 워터마크가 해야 할 역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워터마크의 가장 흔한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태양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
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수 있는 염색체 감수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접합하면 그 결과가 형성된 염색체를 2가 염색체 ... ...
초전도성으로 유물연대 측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비파괴방법이라고 설명한다. 납의 부식물은 기계적으로나화학적으로 금속 납과
분리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납을 통한 연대측정이 기존 방법과 같이 쓰이게 되면 유적지 연대 연구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는‘뉴 저널 어브 피직스’(New Journal of Physics)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의학에 도입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데카르트는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분리
시켜 정신은 종교의 터전인 영혼의 처소로서 그대로 두고 육체는 실증적 과학의 탐구대상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죽은 사람을 해부하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될 게 없는 것이었습니다. 오히려 해부를 통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고장을 검출한 후 차단기에 차단을 지령하여 차단기가 고장난 구간을 단절 ·
분리
시킨다조선 숙종 때 만든 대리석 천문도(天文圖) 를 복각(複刻)한 각석 보물 제837호 세로 2065cm, 가로 1085cm, 두께 30cm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든 석초천문도(石鐎天文圖)가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마멸되자 숙종 13년(1687)에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속속 밝혀지고 있습니다.2년 전에 발견된 ‘FOXP2’ 유전자는 언어 능력과 일반지능의
분리
를 지지하는 좋은 증거입니다.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긴 사람은 다른 뇌기능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말하기와 문법 능력에 심각한 장애를 갖게 됩니다.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침팬지와 고릴라를 비롯한 ... ...
인체 결합과
분리
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위주의 보도가 계속되면 자신들은 물론 가족들도 정서적으로 혼란을 겪게될 것이다.
분리
수술이 성공한 후에도 부모는 자신의 아이들이 결합쌍생아로 태어났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어떤 모습으로 태어났든지 모두 똑같은 인격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기간 관측을 행해보면 극관의 면적이 축소되면서
분리
되거나 소멸되는 신기한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화성의 표면을 관측할 때에는 지표면의 모양과 대기 변화에 주목한다. 옛날 관측가들이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착각할 만큼 표면에는 붉은 배경에 밝고 어두운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 이용된 유산균은 지난해 쎌바이오텍 연구팀이 김치에서
분리
,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확인한 종이다.한편 김 박사팀이 해독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은 이번에 처음 밝혀진 김치 유산균으로 약 2백만쌍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이 유산균의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