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의약품 개발 바람일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잇따라 성공시켜 심장 외과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김만유
병원
연구팀도 지난달 급성 뇌경색 치료제인 청곡키나제와 혈액 정화용 선택 흡착제를 개발했다. 이중 특히 청곡키나제는 혈전을 용해시켜 응고를 억제하는 물질로 뇌혈전 재발 방지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벌레 종류의 피해가 남쪽에서 북쪽과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아열대성 수목
병원
균의 하나인 푸사리움가지마름병도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에 피해를 주며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이런 탓에 한국(Korea)을 뜻하는 학명(Pinus koraiensis)으로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고 있는 잣나무도 벌겋게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아깝다면서 그를 도와주자는 얘기가 나왔다고 한다.그런 얘기가 오고가던 자리에는 해군
병원
의 안과의사인 중국계 미국인 장교가 있었다. 그 장교가 어느날 한보따리 짐을 들고 백 교수를 찾아왔다. 보따리에는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이하 버클리대), 스탠포드대, 캘리포니아공대의 안내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분류상 서로 거리가 먼 동물이 사스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
병원
균이 폭넓은 동물종을 매개체로 전파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보통 바이러스가 특정한 종만을 감염시키는 것과는 다른 현상이다.또 이들 감염된 동물이 사스바이러스를 쉽게 부근의 다른 동물에게 옮길 수 있다는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비해 고추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미국 휴스턴 원호
병원
의 소화기과장인 데이빗 그람 박사는 작은관을 위속에 넣고 고추가루를 주입하는 황당한 실험을 시도했다. 자극성 있는 고추가 실제로 위점막을 손상시키는지를 보기 위해서다. 놀랍게도 실험대상자의 위에서는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해류 등의 영향으로 해안에 정착하지 않고 표류하는 해빙(海氷)유행성 감기를 일으키는
병원
체로서 바이러스(혹은 비루스)의 일종 A형 B형 C형이 밝혀져 있지만, 그 각형마다 새로운 변종이 나타나고 있다2개의 초전도체 사이에 거리를 수nm(1nm=${10}^{-6}$mm)정도로 접근시키면, 초전도체끼리 접촉되어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면역반응을 유도하지만, 기존의 독감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폐에서는 온도가 높아서
병원
균으로 활동하지 못한다.한번 분무에 50달러 _ www.flumist.com사스 진단장치싱가포르 국방과학기술연구소와 테크놀러지 일렉트로닉스사가 공동개발한 체온감별 장치. 사스 환자처럼 열이 있는 환자를 적외선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학 교수를 거쳐 1910년 존스 홉킨스 대학 교수, 13년에는 같은 대학의 헨리 핍스
병원
초대 원장이 되었다가 41년에 은퇴했다1860~1944 독일의 지구물리학자 1884년부터 고다의 고등학교 교사로 있으면서 지자기(地磁氣)를 연구했다 1902년부터 포츠담 관측소의 지자기 부장, 06년 소장이 되고 04년부터는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우주복처럼 생긴 밀폐 실험복을 입어야 한다.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은 치명적인
병원
체는 공기로 감염되기 때문에 밀폐복이 필수적이다.이 실험실에서 가장 힘든 사람은 누구일까. 실제 연구자들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이 실험실에 들어간다. 그러나 실험실 장비를 수리하고 정기적으로 공기 정화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또 다른 응용분야로는 원격진단과 원격수술 분야다. 지금까지는 주로 환자가 직접
병원
을 가거나 의사가 환자 집을 방문해 병을 진단하고 처방했으나 앞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이 모든 작업이 진행될 것이다. 환자의 환부를 느낄 수 있는 촉감재생기술은 역감을 구현하는 햅틱스 기술과 더불어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