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예정돼 있다.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약 1억 개의 별을 관측하고, 약 2500개의 외계 행성을 발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우주의 물질 분포를 파악해 우주의 확장과 시간에 따른 암흑에너지의 영향을 측정할 예정이다. 다만 한 가지 변수가 있다. NASA는 3월 2일 홈페이지를 통해 “WFIRST가 중요한 기술적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것이다. 소니, 카드뮴 퀀텀닷 TV 철수최초의 퀀텀닷은 카드뮴에서 나왔다. 1982년 최초로 발견된 퀀텀닷도, 1993년 처음으로 실험실에서 합성하는 데 성공한 퀀텀닷도 모두 카드뮴이 핵심 원재료다. 카드뮴은 은백색의 금속으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변형하기 쉽고, 전기전도성이 ... ...
- [만화뉴스] 짠 음식 당기는 이유는 세로토닌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카이스트 손종우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소금 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 신경회로를 발견했다고 지난 11일 밝혔어요. 뇌줄기 속 세로토닌 반응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짠 음식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줄어드는 거예요. 이 신경세포는 세로토닌이 적을 때 활성화되고, 많을 때 활동을 멈추지요. 손종우 ... ...
- [그래픽뉴스] 역대 가장 오래된 새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20년 05호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분야 동상왕궁탑과 헤일밥 혜성미국의 천문학자 앨런 헤일과 토마스 밥이 1995년 처음 발견한 ‘헤일-밥 혜성(Comet Hale- Bopp·C/1995 O1)’이다. 약 18개월 동안 지구에서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을 만큼 밝았다. 사진은 1997년 3월 31일 전북 익산에 있는 왕궁탑 위를 지나는 헤일-밥 혜성을 필름카메라로 ... ...
- [Go! Go! 고고학자] 마룻바닥 밑에서 도굴품이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복원할 수 없을 거예요. 이제는 오구라 컬렉션의 도자기가 누구 것인지, 이집트의 흉상이 발견된 장소는 어디인지 알 방법이 없거든요. 도굴꾼이 우리에게서 빼앗아간 것은 유물뿐만이 아니라 역사 그 자체인 것이죠. ▲ 그리스 아테네에 있는 파르테논 신전(아래). 영국 대사인 엘긴 백작은 180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제임스 맥스웰은 여러 색을 칠한 팽이를 빨리 돌리면 새로운 색이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물감을 섞을수록 검은색이 되는 색채 혼합 원리도 밝혀냈습니다. 쇠라의 그림에는 이런 색채과학이 녹아 있습니다.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를 함께 보시죠. 테플론의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포함한 항성계의 형성과정을 가장 잘 설명한다”며 “핵 강착 이론에 따르면 인간이 발견하지 못했을 뿐 모든 항성은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로코스, 시속 15km 이하로 부드럽게 조우 그런데 태양계 끝자락인 카이퍼 벨트(Kuiper belt)*에 위치한 소행성 아로코스의 생성과정을 살펴본 ... ...
- [킹앤포] 포항에 출몰한 UFO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나른한 봄날 오후, 매스라운지에서 공부하던 경진은 정신을 번쩍 들게 하는 뉴스를 발견하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다. 미확인비행물체(UFO)가 포항 상공에 나타났다는데…?! ...
- [오일러 프로젝트] 200만 이하 소수의 합은 얼마일까?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규칙을 알면 모든 소수를 구할 수 있는 공식을 만들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규칙조차 발견하지 못하자, 방향을 바꿔 소수의 성질을 나타내는 여러 추측을 제시했습니다. 난제 중의 난제로 꼽히는 ‘리만 가설’, ‘골드바흐의 추측’, ‘쌍둥이소수 추측’ 등이 그것이지요. 소수의 성질을 밝히기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