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d라이브러리
"
문화과학
"(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조선의 역사가 일본보다 앞설 수 없다는 식민사관에 따라 동관진 구석기 문화는 오랫동안 부정됐다.우리에게 있어 구석기시대는 참으로 오랫동안 '잃어버린 시대'였고 '잃어버린 문화'였다.1935년 함북 종성군 동관진(潼關鎭)에서 확인되기 시작한 우리의 구석기문화(유물)는 일제침략기인 발굴당시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그동안 컴퓨터분야는 외국기술을 따라가기에 급급했다. 그러나 최근 컴퓨터과학자들 사이에서 한글문화에 맞게 컴퓨터기술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왕립 집현전은 새로운 글자체제인 한글을 창제했다고 10월 9일 발표했다. 왕폐하께서 친히 연구 개발을 지휘하여 온 한글은 사람이 낼 수 ... ...
박테리아가 만드는 온실효과의 주범 메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메탄으로 인한 지구온도 상승효과는 이산화탄소 온실효과(0.5℃)의 30%에 해당할만큼 위협적이다. 지상의 열을 꼼짝 못하게 가두어 놓는 메탄은 이산화탄소(CO₂)다음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주범이다.그런데 과거 대기중의 메탄층이 변했을 때 기후 또한 변화했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있다.프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군사과학과 항공우주, 기초과학에서 소련은 세계최고의 기술을 갖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와 생명공학, 생산기술분야에서는 미·일에 10년이상 뒤처져 있다.과학기술의 발전속도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빨라진 현대에 있어서 한 국가의 과학기술수준은 그 나라의 총체적 국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조선조 초의 학자 권근(權近)은 그의 글 '주자발'(鑄字跋)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1403년 2월 13일.조선 태종 3년 이른 봄이다. 태종은 대신들에게 이렇게 말했다.정치를 하려면 반드시 널리 책을 읽어 이치를 깨닫고 마음을 바로잡아야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카메라 자동차 컴퓨터 등 단품생산에는 세계최고인 일본도 소프트웨어 기술에는 허약하다. 우리나라는 하드웨어 중심의 일본식 발상을 벗어나야…'통신올림픽'이란 표현대로 현대 올림픽은 고도의 텔레비전 방송기술과 전산기술이 총동원된다. 이런 면에서 올해 북경 아시안게임과 92년도 바르셀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올바른 과학영재교육을 위해서는 학교는 물론 가정과 사회에서 개방적 분위기가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1989년 11월 20일자 타임지에는 일본의 명문 동경대학이 그 정상의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는 기사가 실렸다. 가장 충격적인 내용은 역대 일본인 노벨상 수상자 7명 가운데 ... ...
긴장과 불안 어디에서 오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스트레스가 항상 나쁜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적정량의 스트레스는 일을 추진하는데 활력소가 된다.스트레스라고 하면 먼저 어떤 생각이 떠오를까.노이로제 초조감 위궤양과 같은 심신증, 혹은 혐오스런 상사나 안하무인의 부하, 번거로운 예의범절과 과중한 업무량 등 여러가지 괴로운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육안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관찰·분석해 본 결과는 분명히 유리였다. 그러나 현미경을 통해 자세히 들여다보니··· 벌써 9년이 지난 1981년 5월의 일이다. 강릉지방 답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버스에서 우연히 신문을 뒤적이다가 나는 깜짝 놀랄만한 뉴스를 접하게 되었다. 4단짜리 짧은 기사였지만 내 ... ...
PART III 우리나라의 뉴미디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우리나라의 뉴미디어는 아직 국민들 앞에 완벽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는 않지만 4~5년내에 서서히 그 위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뉴미디어는 어떤 모습으로 국민들 앞에 나타날까. 뉴미디어란 개념 자체도 워낙 방대해 한마디로 정의하기도 힘들지만, 최근 논의되고 있는 몇가지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