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도는 것? 에어하트 아줌마 정말 멋져요!”허풍이 또다시 허풍을 떤다.“아까 그녀의 눈을
못
봤니? 나한테 푹 빠져….”“에휴~. 말이 되는 소리를 하세요. 나 참!”“이 놈이! 안 되겠다. 버르장머리를 고쳐 놔야지.”허풍이 도형을 괴롭힌다.“빨리 갑시다. 이러다 기차 놓치겠소.”“네~! 아저씨,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이야. 난 전염병에 대한 너희들의 궁금증을 풀어 줄 수있단다.
못
믿겠다고? 수학 이론을 사용하면 전염병이 앞으로 얼마나 유행할지 알 수 있어. 물론 ‘이론적’이라는 한계는 있어. 하지만 수학을 이용해 전염병 유행 시기나 범위를 파악하면 전염병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빛이 진행할 때, 그 각도가 특정한 각(임계각)보다 크면 빛이 매질을 넘어 진행하지
못
하고 100% 반사되는 현상이다. 광섬유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유리인 ‘코어’를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유리인 ‘클래딩’으로 감싼 구조다. 코어를 통해 전송되는 빛은 전반사 때문에 클래딩 부분으로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각각의 사진이 어떤 감정에 해당하는지 맞혀 보자. 정답은 40쪽에~. 표정은 거짓말을
못
해요우와~, 표정에 이렇게 많은 비밀이 숨어 있을 줄이야! 후훗. 이런 내용을 알고 나니 앞으로 다른 사람에게 나의 좋은 표정만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은데?워워워~. 거기서 잠깐! 아쉽지만 그럴 수는 없어. 가짜 ... ...
방금 따른 맥주가 맛있는 이유, 탄산 ‘맛’ 때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했다. 이번에는 두 음료에서 별다른 차이를
못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맛을 느끼지
못
하면 탄산 음료 맛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얘기다.연구팀은 “탄산은 신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를 자극시켜 뇌까지 감각정보를 보내는데, 여기에는 몸 속 물질인 ‘탄산 탈수소효소-4’가 작용한다”고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몇 번이나 겹쳤는지 세어 보자. 홀수 번 겹치는 경우에는 자동차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
하고, 짝수 번 겹쳤을 경우에는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 두 그림을 다음 그림과 같이 바꿔 놓을 수 있는데, 이들은 원 모양의 도형을 잡아 늘려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꿔 그린 것과 같다. 이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돌가위보’라고 부른다. 덕분에 우리처럼 가위바위보를 ‘가위가위보’라고 잘
못
부르는 일은 없을 것이다. 확률을 알면 승리가 보인다친구 4명이서 가위바위보를 하면 쉽게 승부가 나지 않는다. 가위바위보는 매우 복잡한 경우의 수를 가진 게임이기 때문이다. 4명이 동시에 하는 것과 2명씩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사춘기 시절에 방황에 빠져 수도 없이 자살할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자살을 하지
못
한 것이 바로 수학 때문이라고! 러셀은 수학에 대해서 좀 더 알고 싶다는 욕구 때문에 계속 자살을 미루다가 결국 100살 가까이 살았다. 수학은 곧 장수의 비결인가?우리는 타고난 수학자 1990년대 초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마음에 든다. 후에 다시 한번 날 찾아오도록."두루마기에서 봉투를 꺼낸 금마나는 허풍을
못
믿겠다는 눈으로 한번 쳐다보고 도형에게 봉투를 건넨다.“이거면 충분할 거다. 미국으로 간다고? 몸조심하고 나중에 또 보자.”“감사합니다. 좋은 일하고 돌아올게요.”금마나와 헤어진 허풍과 도형은 ... ...
돌고래는 자는 게 자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달리지 않을까요?연구팀은 돌고래들이 한순간도 편히 쉴 수 없는 상황에서 잠을
못
잔 사람처럼 시각과 청각이 무뎌지는지를 실험했어요. ‘삐삐-’하는 배경음 사이에 경고음을 불규칙하게 섞어 들려 주었지요. 돌고래들은 5일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처럼 경고음에 민감하게 반응했답니다.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