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과정을 없애고 시료를 꽁꽁 얼린 뒤 수 ㎛로 얇게 썰어 시료를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도
내부
를 훤히 들여다본다.HVEM이 설치된 2004년부터 지금까지 ‘네이처’를 비롯한 저명한 학술지에 HVEM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해마다 실리고 있다. 2007년 연세대 천진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해 ‘네이처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재료를 가져와 양쪽으로 잡아 늘리거나 자르는 실험을 해야 한다. 사람에 비유하면 몸
내부
에 집게를 넣어 조직을 떼어내 진단검사실에서 각종 실험을 거치는 셈. 환자(구조물)는 오랫동안 검사 결과를 기다려야 하고 검사 시 스트레스도 감수해야 한다.이에 비해 계장화 압입기술은 전문의의 촉진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한 박테리아가 더 이상 자석의 N극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박테리아의
내부
에는 작은 자석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2) 8주 후에 발견된 박테리아가 반대극성을 가진 박테리아의 후손이 아니라면 처음에 있던 박테리아들이 극성을 바꾼 것이어야 한다. 먼저 진흙과 물을 채취한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말 철학자 니체는 ‘몸을 경멸하는 자들에게’라는 글에서 인간에 대한 연구를 인간
내부
에서 찾는 현대과학을 예언한 바 있다. “혼은 몸을 일컫는 또 다른 낱말일 뿐이다. 네 사고와 감정의 배후에는, 아는가, 자아라는 이름을 가진 힘찬 지배자가, 현자가 버티고 있다는 것을. 그는 네 몸 안에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내부
구조를 연구하는 것처럼 천문학자들은 별의 진동에 의한 미세한 변화를 검출해 별의
내부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최소 4년간 수십만 개의 별을 매우 정밀하게 관측하기 때문에 이 별들의 미세한 변화를 연구하기에 효과적이다.별빛 변화, 0.002%까지 감지한다 중성자별인 PSR1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벽을 훈증가스가 스며들지 않는 철판으로 만들었다. 훈증가스를 배기한 뒤에는 훈증실
내부
에 가스가 잔류하지 않아 유물을 안전하게 수장고로 옮길 수 있다.오 학예사는 문화재연구소의 요청에 따라 훈증실 제작 자문위원과 입찰 업체 기술 심사위원도 맡았다. 문화재 훈증소독과 관련된 노하우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쏟아진다. 3) 플라스크의 안의 암모니아 기체가 물에 녹아들어가므로 녹은 기체만큼
내부
압력이 낮아진다. 3. 롤러코스터가 높이 h인 점 P에서 출발해 반지름이 r인 원형의 레일을 돌려고 한다. 롤러코스터는 질량이 m인 객차 세 개로 구성돼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롤러코스터를 인위적으로 ... ...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스티로폼은 발포제로 폴리스티렌을 팽창해 만들기 때문에
내부
에 기포가 많다. 그 결과 스티로폼 용기에 물을 담아도 스티로폼과 물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 이 부분이 열을 받으면 먼저 녹아서 타버린다.종이컵 역시 1회용 냄비로 쓸 수 있다. 종이의 발화점(40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져 부피가 팽창하므로 외부에 열을 뺏기지 않아도 공기 덩어리
내부
의 온도는 낮아진다. 즉 공기 덩어리가 단열 팽창해 온도가 떨어진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간다면 공기는 수증기로 포화돼 응결이 일어나고 공기 중에 수증기가 충분히 있으면 구름이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반도체에서도 양자 결맞음 발견이런 단백질의 역할은 참으로 신기하기 그지없다. 단백질
내부
에 무수히 존재하는 진동들의 총합이 빛에너지를 흡수한 색소의 결맞음을 깨뜨리지 않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화의 꾸준하고도 놀라운 역할을 생각해보면 이는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