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사실을 알고 있는지. 밀물은 조석파의 마루, 썰물은 조석파의 골이다. 조석파의 파장 길이는 무려 지구 둘레의 반인 2만km인셈이다. 파장이라고 부르기엔 좀 너무 거대하다. 참고로 조류는 이 조석파가 ‘출렁’일 때 지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바닷물의 흐름이다. 넓은 바다라면 바닷물이 별 특징 없이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생산 단계부터 웨어러블 기기에 맞는 길이로 제작될 예정이다. 물론 제작할 수 있는 길이에 제한은 없다. 여러 개를 이어 붙여서 밴드 형태로 만들거나, 케이블을 더 얇게 만들어서 옷감을 짤 수도 있을 것이다. 사방으로 늘어나게 만든 배터리도 있다. 휘어지는 것만으론 웨어러블 기기에 ... ...
- 마음에 드는 옷, 2시간 만에 받을 수 있는 비결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최적화 이론은 전쟁 이후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제지회사에서는 화장지의 길이를, 건축회사에서는 빌딩의 화장실이나 엘리베이터의 개수를 최적화 이론을 통해 정하기 시작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유통, 서비스, 스포츠, 금융 등 산업 곳곳에서 최적화 이론이 쓰이고 있다.수학 연구로 ... ...
- 보너스 + 브라주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정팔면체의 꼭짓점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아래 공식에 따라 정팔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먼저 구하자. 그런 다음, 아래의 순서에 따라 브라주카를 그려 보자. 그렇다면 이번 월드컵 공인구인 브라주카는 어떨까? 브라주카를 이루는 조각의 수는 자블라니의 8개보다도 2개가 더 줄어든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삼각법의 초기 공식과, ‘최초의 간단한 삼각함수표’로 불리는 현표(각에 대한 현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를 만들었다. 또한 삼각법을 이용해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도 최초로 개발했다. 이런 이유로 히파르코스는 오늘날 ‘삼각법의 아버지’라고 불리고 있다.이후 삼각법을 좀 더 체계화한 것은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던 사다리들이 다리를 모아 똑바로 서면서 키가 커지고, 재료 전체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시에 줄어든다. 즉 푸아송 비가 음수가 되는 것이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처음에 만든 스폰지형 투명망토보다 더 많이 변형시켜도 굴절률이 적절하게 변하면서 투명망토의 은폐 기능을 유지했다. 김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2배로 했을 때 효과가 2배로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용수철이다. 용수철은 늘어난 길이에 비례해서 복원력이 커진다. 하지만 용수철을 심하게 잡아당기면 결국 변형돼서 복원력의 일부를 잃는다. 엄밀히 따지면 용수철도 비선형이라는 뜻이다. 이런 면에서 사실 대부분의 자연 현상이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끝까지의 길이와 맞먹는 크기로, 지구의 그랜드캐년은 비교의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길이가 10분의 1, 깊이는 4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착륙일행을 실은 착륙모듈은 속도를 줄여 천천히 하강했다. 행성 표면에서 일어나는 먼지 때문에 선실 밖은 시계가 몇 m도 되지 않았다. 표면중력은 지구의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빛나는 다리의 주인공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위치한 러스키교다. 이 다리는 전체 길이 3100m, 두 탑간의 거리가 1104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사장교로도 잘 알려졌다. 그런데 사진을 조금만 들여다보면 삼각형, 수직, 각도 등 다양한 도형의 개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다리나 건축물 등 일상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성질’이 쓰입니다. 삼각형에서는 두 변의 길이와 끼인 각을 알면 나머지 변의 길이를 알 수 있고(그림❶), 또 한 변과 양쪽에 끼인 두 각을 알 때에도 나머지 꼭짓점의 위치를 알 수 있거든요(그림❷). 평면에서 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기준점인 삼각점의 경우에 특히 이 삼각형의 원리를 통해 알고자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