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항공기
과학동아
l
199011
그래서 현재는 블레이드의 냉각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터빈블레이드의 블레이드내에
구멍
을 뚫어 주위의 찬 공기로 냉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블레이드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세심한 설계와 복잡한 제작이 요구된다.한편 터빈블레이드는 방향성을 갖는 주조나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
과학동아
l
199011
1985년 남극상공위의 오존층에 뚫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우리의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그들은 설령 '
구멍
의 주범'인 ... 산다고 해서 마음을 놓을 수는 없다. 지구 성층권을 엉망으로 만든 오존층의
구멍
은 때로 학자들을 당황하게 할 정도로 변덕스럽기 때문이다 ... ...
우연히 발생한 사고에 해결사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011
운반해 처리한다.앤드로스는 매우 정확하다. 그는 열쇠를 갖고 한치의 오차도 없이 열쇠
구멍
을 찾아 문을 열 수 있을 뿐더러 계단을 오를 수도 있다. 가는 실로 원격조종되는 앤드로스는 1분에 5백m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 앤드로스는 두대의 소형카메라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오퍼레이터가 정확히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10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블랙홀에서 다른 우주로 빠지는 통로, 즉 웜홀(worm hole, 벌레
구멍
)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아직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아직은 미지수대학원시절부터 27년 동안 몸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에 시달려온 호킹은 아직도 케임브리지의 ... ...
아리스토텔레스 Vs 데모크리토스
과학동아
l
199010
시간에 텅 비게 되는 장치다.4-1. (ㄱ) 그림처럼 텅 빈 크레프시도라(스포이드)를 원뿔 쪽
구멍
은 막고 물에 밀어넣는다. 물이 어디까지 들어 올까?① 컵 속에 물이 가득 찬다.② 컵 속에 물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다.③ 컵속에 물이 반만큼 들어 간다. 4-2. (ㄴ) 그림처럼 크레프시도라에 물을 가득 ... ...
지상에서 가장 가벼운 에어러겔 개발
과학동아
l
199009
많은 열이 이동하기에는 실리카 사슬이 너무 가늘고 너무 꼬불거린다. 그리고 미소한
구멍
들도 뜨거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헌트에 따르면 0.5인치 두께의 실리카 에어러겔은 3.5인치 두께의 유리섬유만큼이나 절연성이 좋다고 한다. 그는 "실리카에어러겔이 존재하는 고체절연체중 가장 우수한 ... ...
북경 수학올림피아드 출제문제 및 풀이
과학동아
l
199009
있다.여기서 3m-2(=n-1) 개의 색칠이 잘된 색칠임을 증명하고자 한다.A⊂S,#A=3m-2이면 비둘기
구멍
(pigeonhole)원리에 따라 A∩${S}_{r}$인 꼴의 한 부분집합은 적어도 m개의 원소를 갖는다.(1)에서 사용한 방법에 의하면 A∩${S}_{r}$(⊂A)에는 서로 관련된 원소의 짝이 존재함을 밝힐 수 있다.끝으로 3(m-1)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09
기억한다. 만약 솔방울 모양을 바꾸지 않고 전체를 30㎝ 정도 옮겨 놓으면 나나니벌은
구멍
을 찾지 못한다. 실험처럼 집 주위의 솔방울 모양을 바꾸어 놓고, 그 옆에 가짜 모양을 만들면 돌로 된 모양을 택한다. 이것으로 보아 이 곤충은 솔방울 자체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배열을 기억한 것으로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09
없다. 검은
구멍
은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X선을 내는 연성의 한 쪽이 검은
구멍
일 확률이 크다. 그러나 확률은 확률일 뿐이다.우리 은하 중심부의 활동으로 미루어 보아 1만년 내지 10만년 전에 엄청난 폭발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사건이 퀘이사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앞으로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08
고안한 것으로 주경에서 반사한 빛을 2차경에서 다시 반사시켜 주경 중앙의 작은
구멍
을 지나 주경후방에 위치한 주경과 부경의 합성 초점에 상을 맺는 방식으로, 초점거리는 주경의 초점거리보다 3~5배 더 길어진다. 상은 도립상(倒立像)이 되고 유효 초점거리가 증가하므로 배율을 높일 수 있으며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