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스페셜
"
최대
"(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험비행 나선 첫 국산 우주로켓 엔진 성능은?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이륙 148초 후에 엔진 연소를 종료한다. 164초 후에 고도 100㎞에 도달해 313초 후에
최대
고도 약 200km에 도달한 후 낙하한다. 이륙 643초 후 지상거리 약 306㎞인 제주도와 일본 오키나와 사이 공해상에 떨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험발사체의 연소시간이 136.86~150.14초를 채워야 정상적으로 기능이 ... ...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
과학동아
l
2018.11.27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에어로겔 표면에 메틸 화합물을 코팅하면 다른 제품보다
최대
7배 많이 기름을 흡수했다. 뿐만 아니라 불에 잘 타지 않는 화학 약품으로 코팅하면 에어로겔은 620도까지 견딜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면 내열성이 7배 뛰어나고 무게는 11분의 1로 가벼운 방화복을 만들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같은 맹금류는 눈의 해상도가 사람에 비해 4~8배 높다. 시력 5.0인 매가 65인치 TV를 본다면
최대
6.55m 거리에서 8K 영상과 4K 영상을 구분할 수 있다. 붉은꼬리말똥가리의 눈. 위키피디아 제공 8K 영상도 단순히 해상도만 높인 게 아니라 화질의 다른 측면도 더 뛰어나다고 하지만 다른 측면 역시 4K에서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자연재해에도 취약하고 수확 뒤 손실률이
최대
15~20%에 이를 정도로 많다.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한국의 기술을 투입하면 북한의 식량 생산성을 30% 끌어올리는 게 가능하다는 결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진화시켰다. 민들레의 경우 마치 먼지떨이처럼 생긴 구조를 만들어 중력에 대한 저항을
최대
화했다. 씨앗 반대쪽의 털뭉치(갓털이라고 부른다)가 공기저항을 일으킨다. 씨앗이 사람이라면 갓털은 낙하산인 셈이다. 민들레 씨앗 대다수는 꽃자루를 떠나 비행을 한 뒤 2m를 채 벗어나지 못하고 땅에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구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폭이 117m, 길이 73m에 달하는 초거대 항공기를 만드는 중이다.
최대
370㎏ 무게의 위성부터 2019년 최종시험을 거쳐 2020년 내로 사업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버진 오빗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2년에는 3400㎏까지 물품을 실어 나를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합성석유가 고유가 시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2018.10.23
‘이작용기촉매(bifunctional catalysis’가 개발됐다. 카타르 라스라판에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합성석유 공장 전경이다. 피셔-트롭 공정으로 천연가스에서 하루 14만 배럴의 액체연료를 생산하고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이번에 일본 토야마대와 쓰쿠바대, 중국 샤먼대 공동연구자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줄어들었다. 예를 들어 방울토마토의 리코펜 함량은 1㎏에 60~120㎎인 반면 야생 토마토는
최대
270㎎에 이른다. 그런데 게놈편집으로 이 유전자를 고장 내자 리코펜 함량이 500㎎까지 올라갔다. 이 경우는 기존 작물화와 반대 방향으로 바꾼 것이다. 게놈편집기술로 야생 토마토(WT)의 FAS 유전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장내미생물이 분해하고 그 일부를 장벽에서 흡수한다. 코알라의 경우 음식물이 맹장에
최대
100시간 머문다. 그럼에도 섭취하는 영양분이 부족해 코알라는 정적인 동물이 됐다. 즉 하루에 20시간 동안 잠을 자며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한다. 먹이활동도 주로 밤에 하기 때문에 야생 코알라를 보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둘 경우 세포분열을 한 뒤에도 두 세포가 떨어지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세포들이 분열해
최대
50개로 이뤄진 공 모양의 군체를 이룬다. 수정란이 발생과정에서 분열하는 것이 연상된다. 반면 개별 세포는 절대 하나로 뭉치지 않는다.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이 지금까지 동물에만 있는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