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스페셜
"
각
"(으)로 총 1,6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산업계와 학계가 소통이 잘 된다면 바이오 분야에서 좋은 성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
각
한다”며 “소통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이 과장은 소통을 위해 1차적으로 생명공학 관련 연구 인력 풀(pool)을 정리하고 있다. 현재 학계에서 생명공학을 연구하고 있는 인력 대부분은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어차피 디벨로퍼들은 전 세계 연구동향을 주시하면서 평소
각
기업의 주요 연구결과를 훑어본다는 것. 학회나 학술지를 통해 기업을 알리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조언이다. 좌담회에 참석한 민현석 변호사가 최근 미국 바이오산업계 동향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본다. M&A를 한 후 본인은 회사 경영에서 빠지고 끝까지 못 가져가면 어떻게 할까 이런 생
각
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현병환 센터장=기업 규모는 한국 정부도 아주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국내 제약기업 통폐합에 관심이 많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연 매출 3조~5조 원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필요성을 연설해 파격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는데 우리는 전체 R&D 예산 중 10%만이
각
부처 BT 연구에 분배된다”며 “성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BT 특성에 맞게 정부에서 장기적인 계획으로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중심의 대학이 없는 것도 출연연의 역할을 키우는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부풀었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정상으로 바꾸면 여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생
각
했다. 그러나 수년이 지난 지금도 ‘유전자 치료’는 갈 길이 멀다. 모든 유전자의 기능을 알지 못하고, 질병은 여러 유전자의 영향으로 발병하기 때문이다.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이끌었던 프랜시스 콜린스 현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않는다. 앞으로는 진료, 임상 등 장르를 넘나드는 의료 인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
각
이 든다. 이공계 인력 양성 방안에 기초의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0.11.03
각
부처별로
각
개약진하는 형태다. 현재 농식품부는 식물자원, 환경부는 동물자원 등
각
부처별 특성에 맞는 생명연구자원을 주로 관리하고 있다. 서영배 서울대 교수는 “국내에서도 2000년대 들어 생명연구자원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됐지만 아직까지 부처별 분산관리, 연구자 위주의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맞는 평가방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가령 논문이 얼마나 인용됐는지를 평가하는 것도 생
각
해 볼 수 있어요. 논문이 많이 인용됐다는 건 그만큼 해당 논문의 가치가 높다는 말이기 때문이죠.” 유권 책임연구원의 ‘이것만은 꼭!’ △일률적인 평가방식 자제하자 △연구원들이 공감할만한 평가방식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것이다. 오 교수는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농림수산식품부 등
각
부처 별로 R&D가 따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다보면 중복연구가 나오거나 놓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면서 “R&D를 총괄 지휘하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기술부가 ... ...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7.15
작용한다. 전주기적인 신약개발계획을 성공적으로 이끌려면? ① R&D개발의 기획 단계부터
각
부처별로 협력을 통해 진행해야 ②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여러 악기를 지휘하듯 신약개발 관련 협의체(가칭)를 만들어 총괄역할을 맡겨야 ③ BT예산을 증액시키는 한편 협의체의 자율성 확보, 세제개편 등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