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0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테미스 달탐사 선발대로 나서는 우주비행 베테랑 '스누피'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때 둥실 떠올라 우주인에게 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스누피는 가로 18cm, 몸길이 25cm
크기
에 무게 140g으로 제작된다. NASA에서 활용하는 최신 주황색 우주복을 입었고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해 선체와 부딪혀도 충격이 없도록 했다. 아르테미스 1은 심우주탐사를 위해 NASA가 개발중인 대형 로켓 ... ...
IBM, 127큐비트 프로세서 '이글' 공개…"기존 컴퓨터 뛰어넘어"(종합)
연합뉴스
l
2021.11.15
이 컴퓨터로는 할 수 있다"며 "양자컴퓨터가 하는 일을 일반 컴퓨터로 하려면 컴퓨터
크기
가 지구보다 더 커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슈나 CEO는 양자컴퓨터가 수년 내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일부에서는 양자컴퓨터가 핵심 기기로 자리 잡는 데는 10여 년이 소요될 것으로 ... ...
노래할 때 77% 더 많은 침방울 나온다.. 남성은 여성보다 34%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남성과 여성, 청소년의 수를 아는 상태에서 목소리
크기
와 호흡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면 코로나19 위험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볼켄스 교수는 “이산화탄소와 음량만 측정하면 남성과 여성, 미성년자 수를 토대로 전염 위험을 추정할 수 ... ...
"지구 궤도 도는 소행성 '카모오알레와'는 달의 파편"
동아사이언스
l
2021.11.14
발견한 소행성이다. 하와이어로 '흔들리는 별'이라는 뜻이다. 지구에서 매우 가깝지만
크기
가 지름 약 50m로 관람차만 해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별보다도 400만분의 1만큼 더 희미하다. 미국 벤자민 샤키 애리조나대 달및행성연구실 연구원과 크리스찬 베일레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하지만 카모 오알레와의 빛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희미한 별의 400만분의 1에 불과하고
크기
도 워낙 작은데다 궤도상 매년 4월 몇 주간만 고성능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애리조나대학이 관리하는 애리조나 남동부 그레이엄산의 '거대 쌍안 망원경'(LBT)을 이용했다. ... ...
해양 탄소 순환 감시할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머물렀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율주행 로버는 길이 2.6m, 너비 1.7m 높이 1.5m로 소형차
크기
로 차체가 티타늄과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강한 압력과 부식에도 문제가 없다. 최대 6000m의 수심도 견딜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하루에 휴대전화 전력 소비량과 비슷한 평균 2W(와트) 수준의 전력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받은 업적 '광전효과'
2021.11.11
아무리 광자의 개수가 적더라도 각 광자의 진동수가
크기
만 하면 광자의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그와 충돌하는 전자는 충분히 큰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광자의 개수가 적으므로 금속 밖으로 튕겨나가는 전자의 개수는 많지 않을 것이다. 만약 충분히 큰 진동수를 가진 광자가 충분히 ... ...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포토레지스트 소재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시제품은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0.7인치
크기
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다. 한 픽셀 당
크기
는 3마이크로미터 이하로 1인치당 2300개 픽셀을 밀집해 초고해상도 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국내 한 디스플레이 기업에 독점 공급을 이루는 데에도 성공했다. 특히 해당 기업이 올해 출시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38억년 전 화성, 홍수 흔적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07
일어나면서 멀리 떨어져 있던 암석과 흙이 이곳까지 실려왔다고 분석했다. 암석의
크기
와 두 지역간 거리상 홍수가 초당 3000m2 부피의 물을 실어날랐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크레이터 바닥 암석에 오랫동안 물이 흘러들어가 고여 있었다면 그 당시에는 미생물이 살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 ...
[프리미엄 리포트]백신 접종 양극화, 고통의 기간 늘어난다
2021.11.06
조금 다른 요인에 주목했다. 높은 접종률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수는 ‘유행의
크기
’다. 유행 상황이 심각해지면 백신에 의한 감염 예방의 유익이 커지기 때문에 접종률도 같이 오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포함한 약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백신 접종률이 30%에 도달한 이후 세 달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