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뉴스
"
궤도
"(으)로 총 2,4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평면에 밀집해 모이게 된다. 이곳에서는 한 가지 소재만 존재할 때와 달리 전자의 스핀과
궤도
운동량이 결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여기에 외부 자기장을 가하면 스핀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면서 특정 방향 전류가 더 잘 흐르는 상태가 된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연구팀은 란타넘산화물과 ... ...
한국형발사체 7t 엔진 인증모델, 500초 연소시험 성공 '발사준비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개발하고 있는 우주발사체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 저
궤도
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로 설계됐다.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기가, 2단은 75t급 액체엔진 1기, 3단은 7t급 액체엔진 1기가 쓰인다. 누리호는 2010년 처음 개발이 계획된 이후 총 1조957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개발 ... ...
먼 우주에서 찾아온 '성간천체', 태양계내 혜성과 공통점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피오트르 구직 폴란드 야기에우워대 천문관측소 박사과정생과 미하우 드라우스 박사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두 번째 성간 천체인 ‘2I/보리소프’가 태양 ... 보리소프는 12월 8일 태양과 지구의 2배 가량의 거리인 약 3억 ㎞까지 근접하게 된다. 이후
궤도
를 따라 태양계를 빠져나가게 된다 ... ...
최기영 장관 "달탐사 꼭 성공시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개최되던 날이기도 하다. 한국의 달탐사 사업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2020년
궤도
선 발사를 목표로 처음 계획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 2017~2018년 발사로 일정이 앞당져졌지만, 비현실적인 목표는 과학기술계의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결국 2018년 2월 발표된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 ...
조국 장관 딸 문제로 얼룩진 과기부 출연연 국정감사(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2020년 말까지 달
궤도
선을 발사할 계획을 밝혔지만, 9월 10일
궤도
선 발사를 2022년 7월으로 최대 19개월 늦췄다. 이에 따라 추가 비용도 약 167억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성수 의원은 "과기부는 감독에 무책임했고 항우연은 무능했다"며 "처음 해보는 일이라서 미숙한 점이 드러났다고 했지만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온도가 낮은 곳이다. 문 책임연구원은 “네오캠이 라그랑주 L1점에 놓이면 지구 공전
궤도
보다 안쪽을 공전하는 소행성들을 포함해 어두운 소행성까지 굉장히 많은 소행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에서도 올해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제시된 미래 소행성 탐사 임무를 ... ...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박병국 교수 "고효율 스핀전류 소재 개발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전류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스핀분극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그는 스핀
궤도
결합이 비교적 작다고 알려진 코발트-철-붕소 합금 등 강자성체와 전이 금속인 티타늄을 재료로 사용했다. 그 결과 스핀 전류가 효과적으로 생성됐고 생성된 스핀 전류의 스핀 분극의 방향을 임의로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우주망원경이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09년 발사된 후 지구에서 6500㎞ 떨어진
궤도
를 돌며 외부행성을 찾아냈다. 지난해 11월 임무를 종료했고 현재는 NASA의 새 행성사냥꾼 망원경 ‘테스’에 임무를 물려준 상태다. 두 망원경은 행성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하지만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이후 은하수에서 4000 개가 넘는 외계 행성이 발견됐다. 엄청나게 다양한 크기, 형태 및
궤도
를 가진 이상한 새로운 세계가 여전히 발견되고 있다. 새로이 많은 세계들이 발견되며 행성계에 대한 선입견을 깨주고 있다. 행성의 기원과 관련된 물리적 과정에 대한 이론적 오류를 ... ...
토성 한꺼번에 위성 20개 발견, 목성 제치고 최다 위성 보유 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위성의 지름은 대부분 약 5㎞ 내외로 분석됐다. 셰퍼드 연구원은 “위성과 위성의
궤도
를 연구하면 토성의 주변 조건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그 기원도 알 수 있다”며 “거대한 행성 주변 위성의 목록을 완성하는 것은 태양계의 행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했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