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년
년도
학기
학급
d라이브러리
"
학년
"(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들어간 뒤 그는 바다와 더 친해지기 위해 4년간 요트서클에서 활동했다. 1987년 대학 1
학년
때는 태풍 ‘셀마’가 오기 전날 요트를 타다가 바람에 날아간 적도 있다. 물론 다행스럽게 무사히 구조됐다. 88 올림픽 때는 요트경기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기도 했다.그렇다고 그가 바다의 낭만에만 빠져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방과 후 시간의 대부분을 보냈다.그러나 공부에 대한 집중력은 남달랐다. 고등학교 2
학년
때 뒤늦게 공부에 시동을 걸고 악착같이 덤볐다. 농사일에서 해방된 게 그 무렵이었다. 수원에 있는 학교를 다니며 틈나는 대로 책을 펴 들었다. 밤이 되면 등잔불 아래에서 공부를 이어갔다. 요령이 아니라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길에 들른 울산 방어진에서 이종원 차장은 그 웅장함에 압도당하고 말았다. 1993년 대학 4
학년
때 그는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현대그룹에 원서를 냈다. 그리고 원서에 현대중공업으로 가길 희망한다고 적었다. 그렇게 배와 인연을 맺은 이 차장은‘육지 사나이’에서 순도 100% ‘바다 사나이’가 ... ...
폴짝, 공포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오싹하지. 링 같은 공포영화를 많이 봐서 그런가 봐.이혜연 경남 진해 도천초등학교 6
학년
난 유괴범이 무서워서 늦은 밤에 혼자 돌아다니지않아. 그리고 파리도 무서워한단다. 보는 것도 만지는 것도 정말 싫어. 특히 번쩍번쩍 거리는 파리가 세상에서 가장 싫어!왜 무서운 걸까?사람에 따라 ... ...
오빠, 사랑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6
학년
1반의 네 친구가 그 주인공~!정민이는 탤런트 이준기가 너무너무 좋은 초등학교 6
학년
생이야. 실내화에도 이준기의 이름을 새기고 다니는 정민이는 이준기의 DVD나 사진을 사는 데 43만 원이나 썼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 자신과 비슷한 친구들에게 연예인 중독에 대해 이야기해 주고 싶어서 ... ...
1. 거세지는 여풍 파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명령했다.이렇듯 여학생의 학업 성취도가 높아진 사례는 곳곳에서 나타났다. 2007
학년
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나)형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여학생이 약 42%였다. 여성이 수학에 소질이 없다는 편견은 이제 옛말인 셈이다. 이 때문인지 요즘 남녀공학 고교로 배정받은 남학생들은 울상을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발했다. 서울의 한 명문고에서 전교 1등을 다투던 그였지만 영어의 불리함을 인정하고 한
학년
낮춰 10
학년
(고1)으로 입학했다. 하지만 누구보다 자신 있었던 수학은 특기로 최대한 살렸다. 12
학년
(고3) 때 다니던 고등학교 근처 포모나대에서 대학과정의 수학 강의를 듣고 A학점을 받아냈던 것. 강의를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척척 해내던 일을 더 이상 못할 때 그 충격은 상상하기 어렵다.그는 지금 초등학교 저
학년
이면 만들 수 있는 로봇을 조립도 못하고 쩔쩔맨다. 자신의 삶 전체가 무너져 내리는 느낌이리라. 나는 누구인가. 로봇 하나 조립하지 못하는 나는, 아, 나는 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괴물로 바뀐 것이 아닐까. ... ...
대한민국 짊어질 '젊은 과학자'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유독 자주달개비를 먹지 않는 이유는 자주달개비의 어떤 특성 때문일까 ’, 인천과학고 2
학년
생이던 황라영 군(연세대 의공학부 1
학년
)은‘물방울이 식물의 잎에 스며들지 않고 맺히므로 식물에 방수기능을 가진 성분이 있지 않을까 ’란 궁금증을 풀기 위해 지난해 대회에 참가했다. 두 학생은 ...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천문학과 1
학년
이던 1980년 5월 어느 날 필자는 학교 천문대에서‘첫경험’을 했다. 망원경으로 처음 봤던 토성의 모습. 어찌나 아름답던지 접안렌즈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 검은 하늘에서 찬란한 색채를 내뿜는 토성은 형언할 수 없을 만큼 신비로운 고리를 감고 있었다. 그렇게 아름다운 빛은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