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작은 실천 따·분·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사용하지요. 하나의 재질로 만든다면 생수병의 가격이 너무 비싸져 비효율적이에요. 지금 당장은 어렵지만 기술이 발전하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친구들이 분리배출을 한 뒤, 실천 내용을 인증샷과 함께 홈페이지에 올려주었어요. 217명의 기자단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거예요.파울라 스패스 애니히 교수팀이 동물의 형광을 발견한 것은 처음이 아니에요. 지금으로부터 1년 전에는 북아메리카의 날다람쥐가 형광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당시 연구팀은 야외에서 지의류를 조사하다가, 새 모이통에 든 먹이를 훔치려 내려온 날다람쥐를 우연히 자외선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계신가요?저는 초전도체를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초전도체는 완벽하지 않아요. 너무 높은 전류가 흐르면 초전도 현상이 깨지거든요. 이를 해결할 방안을 찾는 거죠. 2011년엔 초전도체에 흘릴 수 있는 전류의 양을 10~50배 늘리는 방법을 찾아냈어요. 이 발견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채취하는 데 성공했고, 현미경으로 정자들의 움직임을 확인했어요. 그때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정자를 형광염색한 뒤 어두운 배경에서 관찰하는 암시야 현미경으로 보았는데, 마치 밤하늘에 떨어지는 유성을 보는 느낌이었어요. 채취한 정자는 혈연관계가 아닌 옆 칸 암컷 삵에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단공류, 절대온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포유동물의 특징인 젖샘과 털 등을 가지고 있어 단공류는 포유동물로 분류돼요. 지금은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 4종 등 총 5종의 단공류가 남아있답니다. 절대온도(絕對溫度) 우리는 일상에서 섭씨온도(℃)를 주로 쓰지만, 과학자들은 섭씨 말고 다른 온도 체계를 쓰기도 해요. 바로 ... ...
- 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나 지금 급해! 달 표면에서 탐사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배가 살살 아픈 거야. 참을까 말까, 쌀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우주선으로 돌아가기로 했지. 우리 우주선에는 달 탐사를 위해 특별히 만든 화장실이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Part1. 어디에 ... ...
- [우주화장실] 똥? 버리든가 먹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속에 들어있는 미생물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연구해야 한다는 거예요.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이 미생물이 살아 있을까요? 배설물, 재활용해!버려왔던 대변을 재활용하려는 노력도 있어요.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핵물리학자 잭 밀러 연구팀은 똥으로 우주 방사선을 막을 수 있을지 ... ...
- [천문대 소식] 지금은 천체물리학 전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행성들의 화려한 우주쇼와 함께 하세요!한 해의 마무리를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세요. 지금 밤하늘엔 목성과 토성이 밝게 빛나요. 목성과 토성은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지요. 이 두 행성은 서로 가까워지고 있어요. 12월 21일 저녁 6시 전후엔 망원경으로 한눈에 볼 수 있을만큼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4000년 전 치과 치료, 얼마나 아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너무 아파요! 정말 너무 아파요! 몇 달 전에 사랑니를 뽑았는데, 그때의 공포와 고통은 지금 다시 떠올려도 오싹오싹 소름이 돋을 정도라니까요. 4000년 전 미라에서 발견된 치과 치료의 흔적 사진을 보고 사랑니의 고통이 다시 떠올랐습니다. 마취를 하고도 끔찍하게 아팠는데, 심지어 마취도 안 하고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렌즈 현상은 보통 수일에서 한 달 이상 지속돼요. 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현상은 42분으로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지속시간이 가장 짧았지요. 그만큼 나홀로 행성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의미해요. 연구팀은 이렇게 작은 나홀로 행성들을 연구하면 우리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