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료
필업
학위 취득
졸업식
수여식
d라이브러리
"
졸업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트라인, 작년보다 높아질듯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수학Ⅱ 두 과목 취득 점수의 10%를 가산해주기로 했다. 모집학과는 변동이 없으나
졸업
정원제가 폐지됨에 따라 입학정원이 각과별로 1명씩 줄어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가 각 20명, 금속·재료 기계 산업 전기·전자 전자계산 화공학과가 각 30명씩이다. 처음으로 신입생을 모집하는 대학원은 학과당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게 사실. 그러나 그후 시도단위로 예비고사를 실시해 우수학생 유치에 타격을 받았고
졸업
정원제 실시후의 양적팽창에 따라 질적저하가 초래되었다는 것이 학생들이나 학교측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점이다. 게다가 지방을 경시하는 중앙집권적 풍토에서 지방대학이 겪는 고충은 울산대학교도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받았다. 레이건 대통령과 주지사의 축하 연설이 있고 매스컴에 둘러싸인 화려한
졸업
식이었다. 미국에서만도 현재 척추를 다쳐 반신불수 상태인 사람이 20만명이나 된다. 그리고 매년 1만명에서 1만5천명씩이 늘어가고 있다. 그 반수가 자동차 사고에 의한 것이고 나머지가 스포츠나 산업재해 등에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남을만한 인력을 배출하고있는데도 이들 연구소들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것은
졸업
자들이 학위에 걸맞는 능력을 배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대학이 국제경쟁력에 도움이 될 생산품을 만들지는 못하는 실정이고 여기에다 예산은 빠듯하다. 따라서 정부의 연구지원에서 소외될 수 ... ...
여학생으로 보다 적합한 선택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많았던 것은 다루는 분야가 넓고 관심영역 자체가 넓었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그만큼
졸업
후 취업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막대한 투자로 양성된 여성과학인력이 어떤 형태로라도 수용되는 방향으로 몰렸던 현상이라 볼 수 있다. 앞으로는 한쪽으로만 몰리는 현상은 지양될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키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우리 기능대의 학생들은 그런 자질을 키워나가고 있으며
졸업
후에는 산업현장에서 그 역량을 발휘해나갈 것입니다" 기계와 기름냄새 화공약품 냄새 등이 뒤섞인 산업현장이나 실험실습장에서도 그들의 이상은 뭉게구름처럼 피어오르고 있었다. "우리민족은 찬란한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죄악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사회가 그런 분위기를 조장하고 있기도 하지요.박-특히 첫
졸업
생을 내는 학교에서는 그런 식의 지원이 심하더군요. 한편 어느 고교가 어느 대학에 몇명 보냈다는 식의 언론의 보도태도에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자신의 적성보다 학교의 이름이 진로의 기준이 되어서는 ... ...
공과대로 발전해온 신흥세력 아주대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살펴보면 재단을 운영하고 있는 대우그룹으로의 진출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전체
졸업
생의 25%인 1백48명이 대우그룹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기계공학과는 35%나 돼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아주대생들이 대우에 취업하는 절차는 공채도 있고 특채도 있다는 게 학교관계자의 귀띔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한탄(漢灘)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 미생물 이름에 우리에게 낯익은 한탄강의 한탄, 수도 서울의 이름이 버젓이 자리잡고 있다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놀라 ... '청년이여! 야망을 가져라' 라는 격언을 아직도 자신의 마음속에 품으면서 갓 대학을
졸업
한 젊은이를 연상케 하는 패기를 보인다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위임하고 있다는 것. 결국 측정요원을 대학생이 대부분 맡고 있는 셈인데 이들의
졸업
에따라 측정요원도 부득이 바뀔 수밖에 없어 전문화는 바라보기 어려운 실정이다.또 장비면에서는 대전 에너지연구소를 제외한 6개 지방측정소에 설치된 장비들이 모두 핵종분석을 할 수 없는 수동식이라는 것도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