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 흐르는 전류를 ‘유도 전류’라고 한다. 전화기, 스피커 뿐 아니라 전류를 생산하는 발전기 같은 중요한 전자 기기들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벨도 귀가 솔깃할 자석 헤드폰준비물 에나멜선, 네오디뮴 자석, 이어폰잭(스테레오), 사포, 알루미늄 철사, 종이테이프, 강력 양면테이프, 병뚜껑,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번 호랑이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범과 동물 게놈 보존과 연구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대형 포유류의 게놈을 분석하는 것은 엄청난 노력과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이런 연구 결과의 중심에 있었던 사람이 있다. 바로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인 박종화 박사다. 박 소장은 현재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울에 배를 띄우고 싶으면 직접 나무토막을 끌로 파서 선체를 만들고, 고물상 등에서 전기 모터 등을 구해 프로펠러를 끼워 소형 모터보트를 들고, 소형 비행기를 하늘에 띄워 보곤 했다. 집 옥상에서 로켓을 발사해보다가 폭발사고를 경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학교 공부는 최악을 달렸다. ...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변화 때문에 신호 주기가 느려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온 통로는 우리 몸에서 전기신호를 만들거나 신경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프로엔자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심장박동이 느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심폐기능을 젊은 시절 수준으로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기전자제어 분야에선 앞으로 자동차가 매우 중요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당시만 해도 전기전자제어로 자동차를 전공한 사람은 국내에서 거의 없었다. “제가 ‘쿵짝’거리며 만드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스스로 특허내서 만든 것으로 조립하기도 했습니다. 그 때 고안했던 게 비오는 양에 따라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자신이 좋아할 일이라는 것이다. 모범생, 통신 정책 선두 주자가 되다 최 교수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다.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게 일이다. 하지만 이게 다는 아니다. 연구 관련해서 기업들하고도 일을 많이 하고 연구과제도 진행하고 자문 활동, 학회 활동도 한다. 학회 활동으로는 ... ...
- 동물을 조종하는 키워드는 ‘본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 없는 장소에서 동물이 사람 역할을 대신하게 하는 방법이에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전기 자극을 이용한 기존 방법과 달리 동물에게 해를 적게 끼치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고 있답니다. 연구팀은 생명체 조종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어요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청정에너지라고 불리는 헬륨3가 풍부해. 헬륨3는 유해한 방사선 물질을 내뿜지 않고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연료야. 달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가져오면 헬륨3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겠지?어과동 친구들, 2020년이 되면 달 탐사선을 통해 생생한 달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거 야. 그 때는 ... ...
- 자동차 속에 숨은 과학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볼래. 우주에서 쓸 수 있는 연료는 뭐가 있을까? 그래, 태양광에너지!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만들 수 있는 태양전지판을 자동차 윗부분에 붙일래. 그리고 중력이 없어도 자동차를 행성 땅에 붙잡아 주는 장치도 만들어야지.나는 북극에서 쓸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 거야. 자동차 겉면을 추위를 견딜 수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세 분야로 나뉜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원자력시스템 공학 분야다. 핵분열에너지로 전기나 열을 생산하는 원자력시스템을 설계·운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다룬다. 다른 하나는 핵융합 및 플라스마 분야로 핵융합 시스템 개발과 핵융합 구현에 꼭 필요한 플라스마 기술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