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름이 10㎛ 정도인 세포 속에는 수십㎚ 크기의 수많은 바이오센서와 분자기계들이
작동
하고 있다.세포막에 박혀있는 수용체분자는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을 인식해 신호를 전달한다. DNA의 유전정보를 담은 전령RNA를 읽어들여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리보솜은 나노조립라인이고 DNA를 복제하는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해해 따로 보관하다 1년 뒤 섞어주면 놀랍게도 이들은 스스로 조립돼 정상적으로
작동
하는 리보솜이 만들어진다.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생체분자의 자기조립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원자나 분자가 스스로 결합해 정교한 기능을 수행하는 나노기계나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비법, 즉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큰 휴대전화라는 뜻의 ‘막시 한디’ (Maxi Handy)는 축제를 위해 특별히 제작돼 실제로
작동
했다. 이 때문에 이내 거대한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어보려는 관람객들로 북새통을 이뤘다.헬스 기구처럼 생긴 장비도 있었다. 러닝머신 모양으로 생긴 기구는 젭터(Zeptor)라는 이름으로 사람이 그 위에 올라서 ... ...
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조화를 연출하는 오케스트라인 생명체. 최근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활용해 생체분자
작동
의 비밀을 밝히고 있다. 이를 응용해 초고감도 바이오센서를 만들고 바이오나노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생명체가 영감을 주고 나노기술이 구현하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가 21세기를 바꾸고 있다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DNA에 상보적인 DNA가닥을 붙인 탄소나노튜브는 탄저균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작동
할 수 있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 유전정보에 담긴 대로 단백질이 합성돼야 한다. 만약 이런 일련의 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지 않으면 단백질 합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RNA 간섭은 이런 원리를 활용한다. DNA의 유전정보를 단백질 정보로 전달할 때 이 과정에 관여하는 전령RNA(mRNA, messenger RNA)를 방해하거나 파괴해 단백질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시각언어가 아니라, 어휘 기억장치의 문을 여는 열쇠로
작동
하는 것이다.이처럼 손가락은 단지 없으면 불편한 도구가 아닌, 인류에게 그들만의 특성을 부여해준 아주 특별한 기관이다. 손을 제2의 뇌라고 부르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우리는 벙어리장갑을 낀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하고 있는 나노과학자들은 현재 어디까지 와 있을까? 지금은 분자셔틀의 각 부속품이
작동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는 각 부속품을 통합하는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이다. 즉 직선형 모터의 방향과 속도를 어떻게 조절할 수 있을까? 원하는 짐을 어떻게 인식해서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대신했기 때문이다. 컨베이어 벨트와 기계의 성능이 좋아질수록 노동자는 점차 기계의
작동
을 도와주는 기계 보조원으로 전락했다.당연히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기계 작업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공장을 떠나는 노동자들도 늘어나 1913년에는 포드사의 이직률이 전년보다 4배나 많았다. 외부의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아주 작은 양의 전류를 흘려주면 빛이 증폭돼 레이저가 발생한다. 지금까지는 레이저를
작동
시키기 위해 다른 레이저가 필요했지만 이 장치는 전기만 연결하면 레이저를 구동할 수 있어 실용화에 유리하다. 또 이 레이저는 빛이 만들어지는 공간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어 레이저 크기가 작아지고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