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료"(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울트론의 뛰어난 인공지능이 기능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가 받쳐줘야 한다. 수많은 자료를 모으고, 정리한 뒤 원하는 결과를 찾아내고, 최선의 결과를 선택한 뒤 부족한 부분을 보완까지 하는 인공지능을 대체 어떤 컴퓨터가 감당할 수 있을까. IBM의 왓슨만 해도 커다란 방 안에 가득 들어차 있는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되고, 이는 모든 꽃식물에 대한 유전, 생리, 육종 등 다양한 파생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암보렐라의 유전체 연구는 왜 기초과학에 투자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다. 콜럼버스는 인류가 이뤄낼 무한한 발전을 상상하지 못하고 신대륙(아메리카)에 발을 내디뎠지만, 우리는 ... ...
- 쓰레기에 신음하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10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될 정도로 피해가 광범위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05년 자료에 따르면, 사고로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갑상샘 암 환자의 수가 4000여 명에 이른다. 체르노빌 발전소 자체는 사고 8개월 뒤 모래와 납, 붕산에 덮인 뒤 콘크리트로 강제로 봉인됐다. 하지만 이제 30년 가까이 ...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연구를 하면 구단과 선수 모두에게 도움이 될 연구가 가능할 텐데, 아직은 구단을 통해 자료를 얻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투구수 제한에 대해 야구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허구연 MBC 야구 해설위원(KSN 대표이사)은 제한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허 위원은 전화 인터뷰에서 “어려움이 ... ...
- 아리송한 투수 교체의 순간, 수학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메이저리그 공식 기록 중, 매 시즌의 개막 후 80%에 해당하는 경기 자료를 가지고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이때는 PTB라는 투수의 향후 경기력을 예측하는 공식을 기초로 했다. PTB★는 투수가 진루를 허용한 총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안타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등을 ...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미세먼지는 결코 적지 않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10년 11만7000t, 2011년 13만1000t 등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제조업에서 석탄연료 사용이 늘어난 탓이다. 2011년에 발생한 오염물질 중 초미세먼지는 8만2000t으로 63%를 차지한다.중국만큼은 아니지만, ... ...
- [hot science] “그녀를 사랑한다면, 함께 맞으세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전체 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각보다 크지 않다. 2013년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암이 21만8017건 발생했는데, 자궁경부암은 3728건(1.7%)으로 여성암 중 7위를 차지했다. 그럼에도 HPV 백신을 강조하는 이유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과, 이들 바이러스가 자주 ... ...
- 사소함에 담긴 디자인 철학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방대한 책을 잘만 쓰고 살았다고 항변할지도 모른다. 다윈은 20여 년에 걸쳐 조사한 자료와 연구 결과를 쓸어담아 502쪽에 달하는 ‘종의 기원’을 썼다. 마르크스는 세 권의 두툼한 책으로 이뤄진 ‘자본’을 썼다. 이들이 포스트잇이 없어서 고뇌와 회의에 빠졌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하지만 ... ...
- [시사] 생생포착! 위기의 야생동물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레드 리스트’라고 부르는 이 발표자료에 의하면 작년 기준으로 71,576종 중에서 21,286종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슬프게도 야생동물의 멸종 위기를 판단하는 수학 공식도 있다. 호주의 애들레이드 대학과 제임스쿡 대학의 학자들은 ...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된 것인지 검증해야 한다. 이 작업은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에서 나온 자료를 이용할 것이다. 플랑크는 지구 대기권 밖에 있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이 현저히 적다. 그 때까지는 호흡을 좀 더 가다듬고 기다려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논문도 통과될 때까지는 기다려볼 필요가 있다.이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