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위상수학을 물리학에 접목시키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위상 양자계산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향후 위상-응집-양자계산을 아우르는 분야에 대한 노벨상 수상도 점쳐볼 만하다. 위상 부도체와 양자계산 이론을 주도한 인물들의 나이가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적게 투자돼 연구 결과 수도 적어진다는 거죠.연구 결과가 적은 건 ‘멸종 가능성’과도 연결돼요. 사람들이 그 동물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을 뜻하거든요. 실제로 호주에서는 토종 설치류들이 다른 포유류에 비해 멸종될 확률이 높아요. 1788년 이후 호주에서는 30종의 포유류가 멸종됐는데, 그 중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의 마지막 주자인 페링하 교수에 의해 꿈이 실현됐다. 그는 화학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평평한 회전날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분자 모터’를 합성했다. 이 분자는 빛과 열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조가 변하며 회전날이 연속적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2011년 페링하 교수는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채집한다.연구팀은 ‘염분 수온 수심 측정기(CTD)’도 검사했다. CTD는 원통 36개가 연결된 해수 채집기다. 36곳에서 해수를 채취해 전기전도도, 염분, 수심 등을 측정한다. 이번 시험에선 CTD를 수심 6000m까지 내린 뒤 서서히 올리면서 해수를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박건태 KIOST 해양관측자료실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위한 거주지를 디자인했다”고 말했다. 2등을 한 작품은 오각형의 큰 거주시설 세 개가 연결돼 있고 이를 지탱하는 벽이 마치 문어발처럼 뻗어있는 형태의 집이었다. 화성의 토양을 이용해 차폐막을 만들 예정이며, 세 개로 나눠진 거주시설은 각각 다른 기능을 하게끔 설계됐다. INTRO. MARS 2025Part 1.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루 평균 50만 명의 사람들이 언더그라운드 시티 안에서 지내며, 120개의 통로가 지상과 연결돼 있다.미국 뉴욕시는 현재 2021년 개장을 목표로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을 조성하고 있다. 맨해튼 지역의 지하에 60년 이상 방치된 폐 전차역을 공원으로 개조하는 ‘로라인’ 프로젝트다(122쪽 사진).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프로그램에 따라 어떤 신경이 신호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알아내서 손목이나 손가락에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손이 잘려나간 뒤에도 잘린 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향해 뇌가 ‘동작하라’는 명령(근전기 신호)을 내려 보내기 때문이다. 잘린 손의 운동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뉴로폴리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뇌공학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설문조사 대신 뇌파를 측정하는 겁니까?”“이해가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파이보는 웹상에서 프로그래밍한 제품으로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무선인터넷만 연결돼 있으면 작동한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미국에서도 인터넷으로 한국에 있는 파이보를 움직일 수 있다!서큘러스의 최종 목표는 1인 1컴퓨터, 1인 1스마트폰 시대와 같은 1인 1로봇의 시대를 만드는 것이다. 박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결국 뇌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아져 대뇌 피질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신경회로의 연결이 많아졌다. 또한 다른 이가 말하는 속뜻을 헤아리거나 상황을 파악하는 것처럼 복잡한 사고를 하는 것도 지능을 발달시키는 데 한몫했다. 이 모든 활동의 근원에 외로움이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외로움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