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레자 사르한기 교수 : 제 고향인 이란의 전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페르시아 무늬는 약 10~16
세기
에 발달했는데, 수학적인 의미가 담겨 있어요. 바로 도형으로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테셀레이션 기법의 원조라고 할 수 있거든요.특히 저는 페르시아 무늬를 수학적인 방법으로 작도하는 것에 관심이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날아다니는 동물의 계절이다. 벌과 나비를 비롯해 온갖 새들이 날갯짓하는 모습은 19
세기
부터 많은 생물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리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찰리 엘링턴 교수는 1997년 나방의 날갯짓을 흉내내는 로봇을 만들어, 동물의 날갯짓이 공기 중에 기하학적인 흔적을 남긴다는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인정했기 때문이다.인공유전자도 과연 특허대상일까이번 재판은 생명과학계에서 ‘
세기
의 재판’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동안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유전자를 연구하던 많은 과학자들은 새로 발견한 유전자에 특허를 받으려 노력했다. 잘만 하면 브라카 유전자처럼 ‘대박’이 터질 수 있기 ... ...
[20
세기
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괴롭히던 난제 중의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한 것은 수학분야에서 20
세기
최고의 업적으로 거론된다. 그 해결의 주인공인 불세출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는 1953년 영국 케임브릿지에서 태어나 올해 회갑을 맞았다. 앤드루 와일즈는 어떻게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했을까 ... ...
똑똑한 인공 홍채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 홍채가 등장했답니다.서울대학교 이신두 교수팀은 빛의
세기
에 따라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인공 홍채를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금까지 개발한 인공 홍채는 전기가 있어야만 동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별도로 전원을 들고 다녀야 했지요. 이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왜 ‘불화의 사과’란 별명을 갖게 됐을까?사이클로이드 곡선이 세상에 등장한 것은 17
세기
였다. 당시 내로라하는 수학자들 중 상당수가 동시에 각지에서 사이클로이드를 발견하고 그 성질을 연구했다. 이 때문에 사이클로이드의 선구자가 누구인지를 두고 수학자들은 서로 논쟁을 삼았다.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이상의 대학원생들이 보는 교재를 만들었다.알렉산더 그로텐디크(1928~)그로텐디크는 20
세기
수학자 중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힌다. 그의 연구로 현대수학의 새로운 장이 열렸기 때문이다. 그는 ‘스킴 이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정수론과 대수기하학의 문제를 통합된 관점에서 해결할 수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변화를 설명하는 방정식으로,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8
세기
프랑스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도 이 방정식을 이용해 열전달 현상을 설명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튜링 이후 많은 수학자들은 이 방정식을 전혀 새로운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다. 그중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있는 세 직선이 만나 생긴 도형도 아니고, 내각의 합도 180°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19
세기
독일의 기계공학자 프란츠 뢸로가 기계 장치에 삼각형 모양의 도형을 사용하면서 뢸로 삼각형이라고 이름 붙었다.한편 구면 삼각형은 구면 위에 정의된 삼각형으로, 서로 다른 대원 세 개가 만나는 점을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행성이 그를 얼마나 강하게 잡아당기느냐, 즉 중력에 따라 달라진다. 이 때문에 중력의
세기
에 따라 무게도 달라진다. 원작에는 크립톤 행성의 중력이 지구의 중력보다 훨씬 강하다고 설명돼 있다. 또 슈퍼맨은 크립톤 행성 중력에 익숙한 근육과 골격을 지니고 태어나, 지구의 중력쯤은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