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하이엔드 제품을 통해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무선통신 기술이
발전
하면서 드론을 2km 떨어진 거리까지도 날릴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미래 세대를 위해 제2의 지구를 찾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지요. 그리고 과학의
발전
은 이를 가능하게 만들고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차단할 전략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이 과정에서 보안 체계도 조금씩
발전
하고 있지요. 스팸을 정복하는 날까지 아주 오래 걸릴 것 같지만 싸움을 포기하지 않을 겁니다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열정을 다해 만든 ‘대구 매스 투어’의 이야기입니다.대구 매스 투어는 계속
발전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들은 조만간 대구 김광석 거리에서 ‘김광석과 함께하는 매스 투어’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그곳에서 어떤수학 미션과 이야기를 만날 수 있을까요? 언제든 함께할 수 있는 매스 투어대구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교수는 오토파지 분야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 많은 후학들을 배출해 오토파지 연구
발전
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제자들은 오토파지 연구를 이어받고 확장해 지금까지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인프라 덕분에 일본은 오토파지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앞서 있다.오스미 교수는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의 1단이 비행 뒤 다시 지상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화성 유인 탐사에는 여기서 좀 더
발전
된 기술이 사용될 전망이다. 팔콘 9은 1단 로켓이 다시 돌아오는 데에서 그쳤지만, ITS는 메탄 연료를 채운 추가적인 연료 탱크(ITS 탱커)를 업고 지구 궤도까지 연달아 다시 추진한다. 스페이스X가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굴착된 응회암은 공기에 노출되면서 다시 단단해진다. 청동과 철기 등 금속 제련 기술이
발전
한 뒤에는 좀 더 편리한 기구를 써서 도시를 건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 지표면에서 55m까지 수직으로 파고 들어간 환기구를 만드는 등 카파도키아의 지하도시에는 12세기까지 공사가 끊이지 않았다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와트는 존 윌킨슨이라는 엔지니어가 발명한 보링머신 덕을 봤다. 영국의 제철 기술이
발전
하면서 가능해진 기술이었다.과학을 거대한 네트워크로 치환하면 많은 것이 달라 보인다. 아니, 많은 것이 이상해 보인다. 과학기술은 왜 일자리를 창출할 도구로 소비될까, 어떻게 5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닮은 로봇이 정교하게
발전
하면서 인간 대신 많은 일을 하게 됐어요. 하지만 사람의 손동작을 따라하는 로봇은 지금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었지요.사람의 손은 인체 중 뼈가 가장 많아요. 모두 27개의 뼈로 이루어졌어요. 덕분에 정교한 움직임이 가능하지요. 하지만 그만큼 로봇으로 만들기 가장 ... ...
[과학뉴스]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장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따라 과학 기술은 정밀해지고 기계장치는 점점 크기가 작아졌어요. 과학이 크게
발전
한 지금, 과학자들은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크기의 로봇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요.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초소형 장치들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어요. 수백 볼트의 전압이나 수백 도의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