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줄"(으)로 총 1,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함께 즐기는 즐거운 무한상상 과학여행!동아사이언스 l2013.10.10
- 5개의 체험 Zone으로 구성해 관람객들에게 과학․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한층 키워 줄 예정이다. 최종배 관장은“대한민국 대표과학축제 사이언스데이 행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다양한 창의체험으로 과학․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과학자의 꿈을 키워, 미래 융합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10.08
- 이렇게 말했다. “소비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물은 다음에 그것을 만들어 줄 수는 없습니다. 당신이 제품을 완성할 즈음, 이미 소비자들은 새로운 제품을 원할 것입니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디자인과 새로운 GUI. 그리고 잡스의 뛰어난 사업수단과 타협하지 않는 정신이 2 ...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동아사이언스 l2013.10.07
- 그가 기여한 건 여기까지라는 것. 플레밍은 페니실린을 인류를 박테리아 질환에서 구해줄 항생제로 쓸 생각을 하지 않았고 그저 박테리아 연구에서 박테리아 성장을 조절할 때 쓰는 정도였다. 그는 페니실린을 더 연구하지 않고 다른 주제로 옮겼다. 페니실린은 발견되고 10년 뒤인 1938년, 나치를 ... ...
- [채널A] 태풍 ‘다나스’ 빠르게 북상…8일 밤 고비채널A l2013.10.07
- 있습니다. 다나스는 오늘 오후 최고조로 발달해 밤부터 제주도 남쪽 먼 바다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도와 제주도 앞바다엔 내일 아침 남해 서부 먼 바다엔 내일 오전 태풍 예비 특보가 내려졌습니다. 태풍의 직접 영향권에 드는 제주도와 영동, 영남지방에는 수요일 아침까지 최고 150mm의 ...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동아사이언스 l2013.09.25
- 이용하면 된다는 것. 그는 “IT는 나노 기술이 응용 과학으로 점프하는 시기를 줄여줄 수 있다”며 “이 때문에 계산과학이 나노 과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실제로 표준연 나노분야 연구에도 4명의 계산과학 연구자가 포함돼 있다. 송 센터장은 “중요한 것은 ...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동아사이언스 l2013.09.16
- 그렇다면 왜 사람은 이처럼 훨씬 뛰어난 능력을 억압해 자신이 그런 능력이 있는 줄도 모르게 진화, 아니 퇴화한 것일까. 역시 대답은 간단하다. 이런 방향이 생존에 더 유리했기 때문이다. 즉 변화무쌍하고 엄청난 데이터를 생산해내는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이를 스캐너처럼 받아들이는 것보다 ... ...
- 솔잎이 없으면 송편이 아니다?KISTI l2013.09.12
- 맛있어 지거든.” “아이고 내 새끼, 엄마가 송편 삼백 개가 아니라 사백 개 만들어 줄 테니께 걱정일랑 붙들어 매, 알았징? 냉동실에 꽉꽉 쟁여놓고 먹어라, 내 새끼~~.” “응응응!!” 명절 때마다 아빠는 바보가 되는 게 틀림없다. 할머니 치마폭에 머리를 파묻은 채 머리를 쓰다듬어 달라고 ... ...
- 창업, 현장에 답이 있고, 현장에 답을 제공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3.09.11
-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업과 관련해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수해 줄 수 있는 멘토가 필요하다는 참석자의 질문에 최문기 장관은 ”당장 해결해 주겠다. 최근 미래부가 벤처 멘토링센터를 열었는데 주소와 연락처를 알려주겠다“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또한 ... ...
- [웹툰] 던전 & 드래곤KOITA l2013.09.11
- 프로젝트의 할당 부분들을 검열(?)받을 때마다 열심히 힐러(healer)와 탱커(tanker)가 되어줄 동료들을 찾습니다. 힐러는 MMORPG 게임(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에서 함께 모험하고 싸우는 동료들의 모자란 체력을 채워주는 착한 친구이고, 탱커는 동료들보다 늘 앞장서서 방패막이가 되어주는 ...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KOITA l2013.09.10
- ‘해가지지 않는 제국’이라는 명성답게 여러 식민지와 함선들을 시간지연 없이 연결해 줄 무선통신의 가능성을 금세 인식했다. 그러나 마르코니의 구상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당시에는 전리층의 존재가 아직 알려지지 않아서 과학자들은 무선통신의 유효거리가 160~320km에 불과하리라고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