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뉴스
"
약물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살해세포의 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박상일 의학원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c-Myc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
과 NK세포치료를 병용하면 기존 NK세포 치료에 내성을 보인 암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암 치료 연구를 선도하는 의학원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항암치료 후 영구탈모 생기는 원인은 '줄기세포 손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반복하며 모발을 나게 하는 성체줄기세포가 있다. 첫 번째 단계를 진행했을 때는 화학
약물
로 인해 모낭이 손상되자 줄기세포가 이를 재생시키기 위해 증식했다. 일부는 DNA가 파괴되기도 했다. 두 번째 단계를 진행하자 줄기세포의 DNA가 심각하게 파괴되면서 결국 대규모로 사멸했다. 연구팀은 ... ...
몸속에서 녹는 항암 치료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결과 실제로 암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교반자기장을 걸어 각각 다른 양만큼
약물
을 배출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암세포 치료방법의 단점을 개선시켜 암세포 치료 효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추후 병원, 관련 기업과 ... ...
컴퓨터로 디자인한 다공성 복합재료 실제 합성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각 재료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복합재료의 새로운 특성도 활용 가능해 촉매나
약물
전달,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문회리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공동 연구팀이 컴퓨터 설계 기법을 활용한 이론적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다공성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흥미를 갖게 된 투 교수는 정제 과정을 거쳐 '아르테미시닌'이라는 인체에 작용하는
약물
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는 효과적인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phys.org 제공 동의보감에는 청호(菁蒿)라는 약초가 등장한다. 개똥쑥(학명: Artemisia annua)이라고도 하는데 아시아 전역에 널리 자생하는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벌독 유래 성분인 멜리틴과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펩타이드를 결합한 형태의 암 표적용
약물
'멜리틴-펩타이드'(MEL-dKLA)를 만들어 폐암 유발 생쥐에 투여한 결과, 혈관 생성이 억제되고 암세포가 사멸되는 효과가 관찰됐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암 면역치료 ...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신호를 읽어들이고 빛과
약물
을 수 초 내로 세포에 직접 전달했다. 브레인칩은 빛과
약물
로 기억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뇌 세포를 자극해 신경세포 연결성을 조절하는 데도 성공했다. 브레인칩은 뇌의 신호를 읽는 것 뿐 아니라 뇌 질환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조 책임연구원은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정신질환으로 인해 게임에 집착하는 증상이 훨씬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럴 경우
약물
치료를 받으면 우울증 등의 병적 증세가 사라짐과 함께 게임중독 증상도 호전된다고 한다. 전문의들은 게임중독을 호소하는 환자가 병원에 오면 가장 먼저 우울증 등 다른 정신질환을 겪고 있는지 ... ...
사망률 30% 패혈증 치료제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바뀌었다. 연구팀은 패혈증에 걸린 쥐에게 팔미트산을 생성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약물
을 투여했다. 그 결과 복강에 감염됐던 세균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생존율이 높아졌다. 김효수 교수는 "백혈구의 단백질이 변형돼 사이토카인을 과다 분비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팔미트산 생성 ... ...
심장마비 '골든타임' 늘려주는 새 치료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화합물(알파CT11)을 발견했다. 연구를 이끈 고디 프랄린의생명공학연구소장은 "알파CT11을
약물
로 개발하면 당뇨병성 발궤양이나 욕창 등 만성 상처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심장마비가 일어난 직후 약 20분 동안 괴사를 억제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