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차범 텍사스A&M대 교수, 미국기계학회 최우수 논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반도체 포토마스크 엣지의 거칠기를 측정할 수 있고 프로펠러의 선단 부분 부식 여부를
나노
미터(10억분의 1미터) 수준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차범 교수가 연구한 논문은 2018년 미국 기계 공학학회 주관 생산 제조 분야 콘퍼런스에서 발표되기도 했다. 이차범 교수는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바람은 QLED의 핵심인 퀀텀닷 개발에도 예외는 아니다. 퀀텀닷은 수nm 크기의 아주 작은
나노
입자다. 크기가 마이크로미터일 경우 다른 특성의 물질을 만들려면 새로운 재료를 찾아야 하지만, 퀀텀닷 정도까지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 발광하는 색을 비롯해 전기적, 광학적 특징을 바꿀 수 있어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못하고 빨리 닳으면서 다른 색의 LED에 비해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
공학부 교수는 “LED 디스플레이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는 것은 청색 소자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청색광은 난이도가 가장 큰 대신 활용도도 높다.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정도였는데 시간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완기 성균관대
나노
공학과 교수는 “QLED 소재 개발이 학문적으로 많이 이뤄지는 가운데서도 청색 소재 개발이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고효율 LED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이론효율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
입자연구단장)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면서 7일 오후 관악구 서울대 연구실 앞에 많은 취재진이 몰렸다. 사진은 연구실에 도착한 현택환 교수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발표는 유난히 떠들썩했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교수의 업적이 재조명되면서 2018년 미국 카블리재단이 수여하는 과학상인 카블리상
나노
과학분야 수상자에 세 명이 나란히 포함됐다. 하지만 2년 뒤 노벨상에서는 식스니스 교수가 다시 빠졌다. 1세대 유전자가위를 고안해 유전자가위를 게놈 교정에 쓸 수 있도록 한 선구적 연구자들도 노벨상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의 수상은 불발됐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입자연구단장)는 “예상했던 결과”라고 설명했다. 현 교수는 “노벨화학상은 순수화학과 생화학, 재료 소재 화학 세개 분야에 돌아가면서 준다”며 “아쉽게도 작년에 재료소재 화학분야에 상이 돌아갔기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의 수상은 불발됐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입자연구단장)는 “예상했던 결과”라고 설명했다. 현 교수는 “노벨화학상은 순수화학과 생화학, 재료 소재 화학 세개 분야에 돌아가면서 준다”며 “아쉽게도 작년에 재료소재 화학분야에 상이 돌아갔기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알렉산더 이프로스 미해군연구소 연구원 등이 아직 수상 전이다”라며 “나는 이런
나노
입자를 산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량 합성하는 방법을 열었으므로, 순서상 그 분들 뒤가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수상권에 든 것만으로도 자신과 한국 과학에 큰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 ...
초정밀 측정센서 개발한 김정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실험결과 1cm 범위에서 1
나노
미터보다 작은 차이를 2만분의 1초 내에 측정할 수 있다. 기존 기술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은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올해 2월 10일자에 게재됐다. 김 교수가 개발한 센서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