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발"(으)로 총 2,1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곤충박사 - 190901 - 1탐사기록 l20190901
- 안녕하세요. 저는 곤충박사팀의 김현지 입니다. 오늘은 제가 손꼽아 기다리던 서천가는 날! 기차역에서 봤는데요. 왜 이름이 네발나비인지 아는 사람도 있고 알지 못하는 사람도 있고 막 그래서 제가 알려주겠습니다. 네발나비는 사실 뒷다리가 퇴화되어있다고들 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단지 날개에 뒷다리가 붙여져 있을 뿐, '퇴화'라는 ...
- 터미네이터 개발할 회사, 보스턴 다이나믹스기사 l20190830
- 로봇들 중에서도 가장 튼튼하고 민첩합니다. 휴머노이드 같이 생겼지만 아래를 보시면 발 대신 바퀴가 달려 있습니다. 아래에 발 대신 바퀴가 달려 있는 덕분에 빠른 회전력과 속도, 점프력을 자랑합니다. 손을 중점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100파운드(40KG)도 거뜬히 들어 올립니다. 계단도 내려갈 수 있고, 한쪽 다리만 경사면에 올라가서 ...
- 초등학생 무좀포스팅 l20190825
- 해 세균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듭니다.이런 상태로 하교 후 발을 씻지 않는다던가, 씻고 나서 잘 말려주지 않으면 무좀균이 우리의 발에 자리잡게 되고 무좀에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으ㅠㅠ...)여기까지 무좀에 대해 알아봤는데용, 나이가 어린 초등학생이여도 무좀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 앞으로 건강한 생활 하세요~ ... ...
- 닥터구리 - 190825 - 3탐사기록 l20190825
- 다리무늬침노린재 약충 발견장소: 익산시 부송동 삼성어린이집 옆 풀발 개망초에서 발견 ...
- 축구공 아니었어? 축구공 모양 분자, '풀러렌' 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90823
- 하지만, 자연에서나 운석 조각에서도 추출되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Q&A Q. 풀러렌 분자로 축구공 대신 할 수 있는 것은? A. 물론 발로 차진 못하지만, 그 대신 축구공 보다 더 뛰어난 것이 있어요. 아까도 말했겠지만, 풀러렌은 크기가 매우 작은 나노 물질이예요. 풀러렌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들끼리 강하게 결합하고있어 다이아몬드를 능가하는 ...
- [ 이런 법도 있다고? ] - 전세계의 특이한 법 (미국 편)기사 l20190822
- 많아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법들이 있을까요? 메사추세츠 - 비둘기 놀라게 하기 금지 이 도시에서는 비둘기를 쫓는다고 발을 쿵쿵거리는 행동을 하면 안 됩니다. 만약 비둘기가 푸드덕거리며 날아가는 것을 본 누군가가 신고를 하면 벌금을 내야한다고 합니다. 애리조나 - 선인장을 자르면 징역 25년 애리조나 주는 선인장을 무척 아끼는 ...
- 넌센스 퀴즈포스팅 l20190821
- (입 안에 있는 이 세상) 가장 큰 파리는 프랑스 수도 파리 세상에서 제일 큰 만두는 카트만두 목+발=?(친구가 목발이라고 대답한다)정답:발목 새를 가두는 내용이 들어가 있는 책이 있었다. 그 페이지는? 정답:3장(새장) 집에 있는 페이지는 홈페이지 하늘에 콩이 2개 떠다니면 스카이 콩콩 딸기와 초코가 동시에 직장을 잃 ...
- 즐거웠던 어린이 기자체험, 기사작성 실력도 쑥쑥~기사 l20190820
- 신문을 발표하고 수료식에서 제가 대표로 제일 먼저 수료증을 받아 기뻤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신문의 중요성과 매일 열심히 발로 뛰시며 취재하시는 기자님들에게 감사함을 느꼈습니다. 여름방학 중 3일 동안 너무 소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 ...
- 요즘 조용했지만 다시 글 올림포스팅 l20190819
- 도망쳤다. 그리고 나는 빠르게 가기 위해 그 순간을 피하고, 계단으로 네 발로 올라갔다. 무서웠지만 불이 켜지지 않았고, 나는 네 발로 빨리 뛰었다. 그리고 간신히 내 집으로 갔다. 해석:여러분, 왜 무서운 이야기일까요? 왜냐하면 불독 켵에는 주인도 없었는데 엘리베이터가 열리고, 그리고 불이 켜지지 않은 이유는 뭘까요? 소오름! ...
- 백두대간 수목원에서 1박 2일기사 l20190811
- 뻔 했답니다.^^;;;; 이건 개미탐사 때 개미가 싸우고 있는 것입니다. 개미들은 죽을 때까지 계속 싸운데요. 이건 개미탐사 중에 우연히 발결한 황조롱이 입니다. 황조롱이는 맹금류이고 무척 사납습니다. 그리고 매과에 속하고 천연기념물이래요, 서울에서는 본 적이 없는데, 실제로 보니 엄청 신기했어요. 이것은 야간 식물탐사에서 설명을 듣는 중입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