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시뮬레이션 계산으로 이 같은 사실을 사전에 알아냈다. 플레크러그 교수는 “
하늘
에서 생성되는 자연 입자가속기를 관찰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라며 “자연 입자가속기는 우주와 지구 사이에 발생하는 매력적인 상호 반응 현상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4월 14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곤충의 움직임을 관찰해 왔다. 주로 해부학적이거나 운동학적 구조를 연구했다. 하지만
하늘
을 날고 싶어 하는 인류의 욕망은 동물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생체를 모방하는 날갯짓 형태로 이뤄지지 못했다. 최초로 동력 비행에 성공한 라이트 형제는 현재 우리가 보는 형태의 비행체 구조로 ... ...
나로호 2차 발사 관전 포인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난해 8월 25일 발사된 뒤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정상 궤도에 올리는 데 실패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하늘
길을 여는 두 번째 도전에 나선다. 실패를 딛고 재기에 나서는나로호 2차 발사를 미리 살펴봤다.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DNA 자료를 확보해두고 있다. 하지만 유해에서 채취한 DNA와 유가족의 DNA가 일치하기란
하늘
의 별 따기나 다름없다. 그만큼 유가족의 DNA 확보가 관건인 셈이다. 양 일병과 함께 발견된 나머지 35명도 32연대 소속 장병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유가족의 DNA샘플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분뇨 저장고가 폭발하는 바람에 주인이 12m나 날아간 사고가 있었대. 믿겨져? 사람이
하늘
을 날다니 완전 대포에서 발사되는 수준 아냐. 소방관은 농장 주인이 분뇨를 섞는 작업을 했는데, 그때 나온 메탄가스 때문에 폭발한 것 같다고 설명했나 봐.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사고 기록이 없지만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림도 많았는데, 당시의 유물인 사발에도 비슷한 새 무늬가 그려져 있어. 아마 새가
하늘
을 상징하는 동물이기 때문일 거야. ▲ 재규어 모양 도자기 (잉카시대)맹수의 일종인 재규어 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잉카 시대의 도자기야. 원래 나는 무서운 동물인데, 어쩐지 내 모습이 웃기고 귀엽지 않아?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유라면 분명 먹이 싸움일 거야. 공룡나라는 화산 활동이 끊임없었기 때문에 화산재가
하늘
을 덮으면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거든. 거대한 육식공룡이 사는 공룡나라에서는 많이 먹어서 몸집을 키워야 했지. 또한 몸의 온도를 지키기 위해서도 많은 먹이가 필요했어.학자들은 공룡이 항온동물과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필요해. 그 중에서도 우주로 날아갈 때 타는 로켓에 대한 지식은 정말 중요하지.로켓이
하늘
을 날기 위해서는 강력한 엔진이 필요해. 그리고 엔진에서 내뿜는 불길이 동체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장비와, 우주선이 지구로 귀환할 때 필요한 낙하산 같은 안전 장치도 있어야 하지. 꿈나무 ... ...
인터뷰 공룡전문가 이융남 박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목긴 공룡, 조각류가 무리지어 살면서 강가와 호숫가에 발자국을 남기기도 했지요.
하늘
에는 익룡이 날아 다녔고 악어나 거북도 함께 살았어요.이처럼 아름다운 공룡나라가 우리나라에 펼쳐졌다는 사실이 밝혀진 건 오래되지 않았어요. 일제 강점기 시절 한반도에는 공룡이 없다고도 알려졌거든요.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속도가 작아서 멀리 가지 못한다. 공을 낮게 던지면 수평 방향의 속도는 빠르더라도
하늘
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서 멀리 가지 못한다. 계산에 따르면 45°각도일 때 공이 가장 멀리 날아간다. 하지만 사람의 근육구조는 수직 방향보다 수평 방향으로 공을 잘 던질 수 있게 만들어졌다. 그래서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