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2007 대선은 과학전쟁과학동아 l2007년 11호
- 제시하기보다 정책의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항공우주 7대강국 프로젝트나 국제과학기업도시 같은 공약은 이전에도 수없이 나왔던 내용의 재탕에 불과하다. 대선이 한달밖에 남지 않았는데도 어떤 후보들은 과학기술정책을 세울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외국에서는 이미 대선을 ...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셀레네(SELENE))를 달로 보내는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의 아폴로계획 이래 가장 큰 달 탐사 프로젝트다. 일본에 이어 중국은 10월말에, 미국과 인도는 내년에 무인탐사선을 달에 보낼 예정이다. 본격적인 달 탐사 경쟁이 시작된 셈이다. 중국, 인도에 민간기업까지 가세JAXA에 따르면 달은 아주 면밀하게 ...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당초 계획보다 4년 늦어지긴 했지만,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는 지난 9월 14일 오전 달 탐사선‘셀레네’(SELENE, SELenological and ENgineering Explorer, 일본명 가구야)를 발사했다. 미국의 아폴로 프로그램 이래 가장 모험적인 계획으로 평가받는 이번 탐사는 달의 기원을 탐구하는 한편, 차기 탐사 계획 ...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만든다는 뜻에서 ‘캔샛’(CanSat), 우리말로 ‘깡통위성’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프로젝트는 1998년 11월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일본·영국 3개국 인공위성 심포지엄에서 미국 스탠퍼드대의 밥 트윅스 교수가 처음 제안했다. 심포지엄에 참여한 미국과 일본의 12개 대학 연구팀이 각각 1년 동안 ... ...
- HDTV 다음은 3DTV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아래 3D 기술로 유명한 헝가리의 ‘홀로그래피카’를 중심으로 4개국 6개 기관이 COHERENT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일본 역시 국책 과제를 통해 3DTV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고, 최근 이를 상용화시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8월 히타치는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할 수 있는 무게 ...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10GB 대용량 반도체메모리에 저장했다가 고속으로 영상자료를 전송할 수 있었다. 우리별 프로젝트를 총지휘한 최순달 박사에 따르면 우리별 3호를 개발한 기술력만큼은 소형위성급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영국 서리대 유학파 1기로 우리별 1·2·3호를 개발하는데 참여했던 쎄트렉아이 장현석 ...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지금까지의 위성개발 경향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가능성을 타진한 소형위성 프로젝트가 미국의 오비탈 익스프레스다.또한 초소형위성은 다수가 무리를 짓거나 편대비행을 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데 유용하다. 발사나 임무에 실패해도 위험 부담이 적고 여러 대를 발사해 임무의 ...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이름표’를 달기 위해 2005년 전세계 30개국의 140개 기관이 뭉쳤다. DNA생물바코드프로젝트(Barcode of Life)가 시작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포함해 한국해양연구원, 고려대 식물DNA 은행 3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생물의 ‘이름표’에 정보를 담아 ...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대한 희망은 1985년에 시작됐다. 당시 33살의 초등학교 교사였던 그는 NASA의 ‘우주선생님 프로젝트’에 지원했지만 최종 선발에서 동료 교사 크리스타 멕알리페에 밀려 후보가 됐다. 하지만 1986년 멕알리페가 탄 우주왕복선 챌린저는 발사 73초 만에 공중 폭발하는 비극을 맞았다.그 뒤 그는 학교로 ...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유럽우주국과 미국 항공우주국은 지구 궤도에 3개의 위성을 띄워 중력파를 검출하려는 프로젝트(LISA)를 진행하고 있다. 각 위성 간의 거리가 500만km로 지구반지름의 780배에 이른다. 기본 원리는 LIGO와 같다. 즉 한 위성에서 다른 두 위성을 향해 레이저빔을 보내고 두 위성에서 돌아온 빔이 이동한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