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2. 가오리 신발가오리 신발은 지금도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나노미터 크기인 유전자를 조작해 원하는 색깔과 패턴을 가진 가오리를 만든 뒤, 그 가오리의 가죽을 이용해 만드는 신발이다.3. 트위터 임플란트트위터 임플란트는 인공 치아 속에 설치된 나노미터 크기의 센서와 기계 장치가 우리가 ... ...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할 필요가 있었다.소수 덕분에 탄생한 더 강력한 암호1976년, 수학자 휫필드 디피와 전자공학자 마틴 헬먼은 공개키 암호라고 부르는 새로운 방식의 암호체계를 발표했다. 디피와 헬먼이 만든 암호화 기법은 대칭 암호와 달리, 암호를 만드는 방법과 복호화 하는 방법이 달라서 비밀키가 누출될 ...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다시 등장한 건 아닐까요. 아직은 정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단지 덜 발견됐을 뿐, 사실은 아시아에도 다 퍼져 있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결론을 내리기에는 자료가 불충분한 셈입니다. 우리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계속 기대해야 할 이유입니다.세 종의 인류가 산 ...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돕는 도구들이다. 거기에 덧붙여 차 교수는 “오늘날 전기·정보공학부와 관계가 없는 전자제품은 찾아보기 힘들다”며, “들어와서 아무거나 하나만 열심히 해도 졸업 후 할 수 있는 게 많다”고 말했다.하고 싶은 전공 고를 땐 성격도 봐야 해차 교수가 계속 강조한 건 바로 전기·정보공학부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조를 연달아 사용하면 행성간 대여행을 할 수 있다.eV전자볼트는 에너지의 단위로, 전자 하나가 1V의 전위를 거슬러 올라갈 때 드는 일로 정의한다. 1~2년 뒤 태양권 완전히 탈출할 듯최근 유명 과학 저널인 ‘사이언스’는 보이저 관련 연구를 특집으로 다뤘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흘려보내면 두 코일이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자기장의 영향으로 전류가 따라 흐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했다.하지만 5mm라도 떨어지면 충전이 잘 되지 않는다. 이래서야 충전 중에 전화를 받거나 마음 놓고 메시지를 보내기 힘들다.적어도 와이파이존 만큼의 범위 안에서는 충전이 돼야 진짜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제공한다. 그래서 양자역학을 이용해 그린 원자그림을 보면,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 구름처럼 뿌옇게 흩어져 있다(138쪽 슈뢰딩거의 모형 참조).하지만, 이런 확률적 해석에 대해서는 치열한 논쟁이 뒤따른다. 이 논쟁의 승자는 보어를 중심으로 한 행렬역학 주창자들이었다. ... ...
- 스마트워치는 삼성이 애플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손목시계형 기기를 내놓는 것은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삼성 스마트폰 전문 뉴스 사이트인 ‘삼모바일’은 갤럭시 기어의 사양을 삼성 엑시노스 1.5GHz 듀얼코어 CPU에, 1기가 램, 1.67인치 아몰레드로 밝혔다. 휘는 디스플레이(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여래인 우주도 있었다. 여래가 없는 우주도 있었다. 물리 법칙이, 뇌 안의 물리 화학 전자적 양상을 지배하는 물리 법칙이 해탈을 막는 우주가 있었다. 그렇지 않은 우주도 있었다.원숭이가 여래의 손바닥을 벗어나는 우주가 있었다. 원숭이가 여래의 손바닥을 벗어나지 못하는 우주가 있었다.시간이 ...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우리가 ‘보어 모형’이라 부르는 원자에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의 원궤도 반지름이 특정한 값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보어 모형의 핵심이다.아인슈타인이 극찬하기도 했던 이 3부작 논문은 향후 양자역학이 발달하는 데 커다란 반석이 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