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1. 불안하지 않으면 한순간도 살아갈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만일 자신이 지나치게 걱정하는 타입이라고 판단되면, 자신의 생각과 판단 중 어떤 점이
잘못
되고 과장된 것인지를 알아내 교정해 보는 인지요법이 필요하다.불안감을 느끼는 사람 중 일부는 그 불안감이 극도에 다다르거나 혹은 아무런 이유없이 계속적으로 불안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때는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체세포는 어차피 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결과물이 아닌가.찬성론자들은 복제인간에 대한
잘못
된 편견을 지적한다. 무엇보다 복제인간을 마치 '넋 나간 기계적 냉혈한'으로 연상하는 일이 문제다. 복제인간은 출생과정만 다를 뿐 바로 우리 자신과 같은 인간이다. 9개월간 어머니 몸에서 길러지고, ... ...
2. 시험불안 고3병의 정체는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실제 통증과 신체 장애가 일어나므로 꾀병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
된 것이다. 모의고사 중 배앓이는 이렇게 치료한다명문대를 목표로 하는 김군(고3)은 모의고사를 치르던 도중 갑자기 배앓이를 해 진땀을 흘렸다. 이유없이 시작된 배앓이는 시험이 끝나면서 멀쩡해져서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여신 서왕모를 보위하는 호랑이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굴원이 시에서 호랑이를 토끼로
잘못
쓰면서 토끼로 변했다고 한다. 그 후로 달에는 옥토끼 두 마리가 서왕모가를 위해 불로초를 절구에 찧고 있다고 알려지게 됐다.천상과 지상의 경계계수나무나 옥토끼 이야기는 모두 달 표면이 거무스름한 ... ...
플라스틱의 변신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예쁘게 만들 수 있다. 열에 의해 가라앉은 후 잘 펴서 눌러줘야 멋있게 만들 수 있다.5.
잘못
만들어진 것은 다시 오븐에 넣고 가열하면 새롭게 만들 수 있다.2. 사라지는 플라스틱폴리스티렌 컵을 아세톤에 담그면 어떻게 될까. 컵라면 그릇으로 쓰이는 발포 폴리스티렌 컵을 아세톤과 매니큐어 ... ...
혈액검사만으로 시체의 알코올농도 측정은 곤란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다이애나 영국 왕세자빈을 태운 자동차를 운전한 프랑스인 헨리 폴은 과연 사고를 낼 만큼 취한 상태에서 운전을 했을까.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그는 ... 높은 온도, 그리고 혈중의 과도한 당분은 박테리아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기 때문에
잘못
된 결과를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 ...
농경문화가 변모시킨 국토의 얼굴 소나무 숲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점차 참나무류에게 서식공간을 내줄 수밖에 없는 소나무 숲. 그래서 망국수(亡國樹)라는
잘못
된 이름으로도 회자되던 것이 우리 소나무다. 소나무는 과연 이렇게 쓸모없는 '나쁜 나무'일까?답은 물론 아니다. 여름을 제외한 대부분의 계절에 나타나는 건조기와 계절 간의 기온차가 큰 대륙성 기후 ... ...
여의사 이명주씨의 남극 체험수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시간이 걸렸다.때로는 눈물이 났다. 여성이라는 점 때문에 잘한 것도 금방 눈에 띄지만,
잘못
도 너무나 쉽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처음에 28개의 눈이 나를 주시한다는 것 때문에 부담을 느꼈지만 시간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었다. 6개월이 지나면서 여성이라기보다 한명의 동료로서 보아주는 눈들이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신라나 고려의 멸망을 재촉했듯이, 오늘날 북한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근 역시 숲을
잘못
다루었기 때문에 벌어지고 있는 참사다.팔만대장경이 가능한 이유나무나 숲은 민족 문화 발전에도 지대한 역할을 했다. 우리 산하에 무성했던 산벚나무나 돌배나무, 자작나무가 없었다면 세계 문화유산인 ... ...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돼 향후 예측을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었다.위너와 비겔로는 여기에서 보정 되먹임을
잘못
다루면 제어기 부분에 두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오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음을 알아냈다. 만일 제어기가 보정 되먹임에 충분히 민감하지 않다면 보정결과 차이가 줄어들지 않게 돼 예측한 움직임과 실제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