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식
보통생각
d라이브러리
"
일반생각
"(으)로 총 4,50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 |이석영 지음 | 사이언스북스 | 303쪽 | 1만 5000원오랜만에 우주에 대한 책을 즐겁게 읽었다. 우주와 천문, 물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심 갖고 있을 ‘빅뱅(대폭발) 우주론’에 대한 이야기다.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를 쓴 이석영 교수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조각가 도나텔로, 조각가이자 화가인 미켈란젤로, 화가이자 기술자인 다 빈치, 과학자 갈릴레이. 이들의 공통점을 찾는다면 무엇이 있을까? 먼저 모두 뛰어난 창의력을 발휘하여 과학이나 예술 등각자의 분야를 풍성하게 만들어 주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언뜻 보면 알아채기 어려운 한가지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Prologue미국 남북전쟁 때 대포클럽이라는 모임이 생겼습니다. 크고 강력한 대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결성한 모임이지요. 그런데 전쟁이 끝난 이후 대포의 쓸모가 없어지자 심심해진 회원들이 새로운 생각을 떠올렸습니다. 바로 매우 큰 대포알을 달까지 쏘아 올린다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대포알에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무엇이 살에 닿아 가볍게 스칠 때처럼 견디기 어렵게 자리자리한 느낌.’사전에 적힌 간지러움의 정의는 이렇다. 여기서‘자리자리하다’는 피가 돌지 못해 저린 느낌을 말한다. 상처가 난 부위에 딱지가 생기거나 벌레에 물리면 자리자리한 느낌이 들어 저절로 손이 간다. 긁고 싶은 충동을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얼마 전 초등학생 남자 아이가 신종플루에 걸려 목숨을 잃었어. 이젠 잠잠해졌다고 생각했던 신종플루와의 싸움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끔찍한 생각마저 들어. 과연 바이러스는 얼마나 큰 힘을 가졌을까? 바이러스를 미리 알고 이겨 낼 수 없을까? 궁금한 게 너무 많아. 앞으로 바이러스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2014년 7월 31일 오후 2시 제주 구좌읍의 한 가정. 주부 A씨가 세탁기를 작동하려던 손을 멈추고 집 한쪽에 설치된‘스마트 미터’에 시선을 던진다. 스마트 미터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하는 이 지역의 전기료 추이를 알려주는 전자식 단말기. 사람들이 전기를 많이 쓰면 그만큼 오른 요금이 표시된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알록달록~ 금방이라도 터져버릴 듯 잔뜩 부풀어 오른 풍선 수천 개가 두둥실 하늘을 날고 있다. 커다란 풍선 다발과 함께 나무로 지은 집도 함께 떠올랐다. 평생 위대한 모험을 하고 싶어 하는 칼 할아버지가 드디어 풍선 다발에 집을 매달고 하늘여행을 시작한 것이다. 지난 7월 29일에 개봉했던 애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수능이 끝나고 나면 바로 수시 2-2 시험이 시작된다. 수능 후에 수시에 임하는 수험생들의 준비과정과 마음가짐은 아무래도 수시 2-1과는 많이 달라진다. 수시 2-1 때는 학생들이 수능과 논술을 모두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논술에 집중할 수 없었다. 그러나 수능을 치른 다음에 남은 것은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요즘엔 대형마트에 가도 손세정제나 손소독제를 찾기가 쉽지 않다. 세계보건기구(WHO)뿐 아니라 많은 전문가들도 신종 인플루엔자A(이하 신종 플루)바이러스의 예방책으로 손 씻기를 강조한 탓이다. 신종 플루 발생 초기부터 제품을 대량으로 사들인 대형마트는 그나마 상황이 좀 나은 편. 소형상점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양이 소리를 ‘야옹’이 라고 말하는데, 영어권에서는 ‘mew(뮤)’라 고 말한다. 그러면 동서양의 고양이는 서로 다 른 소리를 내는 걸까. 아니면 소리는 같지만 듣는 사람이 다른 소리로 지각하는가. 또는 같 은 소리로 들리지만 언어 자체가 다른 표현을 하게 하는가. 이런 궁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