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도 개발되지 못했을 것이다.2.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은 우주 어딘가에 있을지 모르는 특별한 존재를 예언했다. 바로 부피가 0이고 밀도가 무한대를 향해 수축하는 블랙홀이다. 그런데 0과 무한을 인정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어쩌면 지금까지 블랙홀의 존재를 ... ...
[매스미디어] 중간 세계를 구하라!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이와 비슷한 문제를 연구하다가 ‘그래프
이론
’이라는 새로운 수학 분야를 만들어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에 있는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서 모든 다리를 다 지나는 경로가 있을지 알아보다가 그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상상한 기하 공간이 우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에 따르면 우주 공간 자체는 휘어져 있는데, 유클리드 기하학은 휘어진 공간에서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새로운 기하학이 싹트기 시작했고, 이것이 바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다.비유클리드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존재니까요.”나에게 반응한다?! 착생식물원알레프 프로젝트에는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
’이 적용된 작품들이 다채롭게 전시되어 있다. 특히, 웅장한 모습의 에 많은 관람객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독자기자들은 알레프 프로젝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위해 차례대로 작품을 관람해 ... ...
생명체 핵심 원소 인(P), 초신성 폭발로 만들어져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만들어져 우주로 퍼져 나가는 ‘인’의 기원이 확인됐다”며 “관측된 인의 양이
이론
이 예측한 값과도 부합하는 만큼, 이번 결과는 별의 폭발과 최종 진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로또를 바라는 심정으로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학자들은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 냈다.
이론
적으로 X선보다 수억 배 강한 빛을 단백질에 쪼이면 결정이 아니어도 구조를 찾을 수 있다. 아주 강한 빛과 단백질 분자가 부딪히면 닿자마자 부숴지지만 그 찰나의 순간 구조에 대한 고해상도의 자료를 얻을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기반의 진사회성
이론
을 부정하고 집단선택에 기반해 진사회성을 획득할 새로운
이론
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재해설한다. 조금 어렵지만, 최 교수의 해설을 통해 사정을 알고 읽으면 좀 낫다. 최근 윌슨과 연구한 마틴 노왁의 ‘초협력자(사이언스북스)’를 같이 봐도 좋겠다 ... ...
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119년의 역사를 정리해 봤다. 검은색은 입자 자체를 발견한 역사다. 파란색은 관련한
이론
의 발전사다.붉은색은 주요한 실험장비, 특히 입자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가속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그런데 이제 우리도 가능하게 됐어요. 실험과
이론
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으며
이론
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온 거예요.”김 팀장은 인터뷰 끝에 “개인적으로 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인 양자색역학(QCD)의 감금 문제에도 관심이 많다”며 “언젠가 가속기로 연구할 날이 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궁극적인
이론
또는 최종
이론
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2500년도 넘는 인CERN류의 수수께끼에 일차적인 종지부를 찍었기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