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여러가지 힘이 작용합니다. 발이 물에 들어갈 때 저항력과 발을 감싸고 있던 공기가 부레 역할을 하면서 부력이 생깁니다. 이 힘의 조합 덕분에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몸이 가라앉지 않고 뛰어다닐 수 있습니다. 물 위를 달리는 최적의 각도이번에는 바실리스크 도마뱀이 물 위를 달릴 때 관절이 ... ...
- [가상인터뷰] 화학물질로 곤충을 조종하는 야생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수해 줘!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화분매개자와 초식동물이 식물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말했어요.화분매개자 동물들이 식물의 수정을 도와 주는 동시에 알을 낳아 공격하는 경우는 많다고 해요. 고통받는 식물들에게 한 가지 물질로 수정과 방어를 동시에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속의 탄산염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이에요.탄산염은 칼슘과 결합해 탄산칼슘을 만드는 역할을 해요. 탄산칼슘은 소라게의 집이 되는 고둥껍데기뿐만 아니라 조개, 굴 등 해양생물들의 골격을 이루는 성분이에요. 즉, 해양 산성화가 심해지면 여러 해양생물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그 수도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몬드 등이 이에 속한다. 니콜라스 데일 신경과학과 교수는 “띠뇌실막세포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냈을 뿐 아니라 건강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met.2017.08.01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망원경이 X선을 감지했다는 보고까지 이어졌다. 이 후속 관측에서 한국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서울대와 한국천문연구원 팀이 공동으로 칠레-호주-남아프리카공화국에 설치한 망원경 네트워크인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과,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서울대 천문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상각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향을 낼 뿐만 아니라, 다른 향 분자가 공기 중에 날아가지 않도록 잡아두는 보류제 역할도 한다”고 설명했다. ‘가짜 향기’로부터 얻는 이점은 또 있다. 바로 안전성이다. 최 대표는 “천연 향료는 셀 수 없이 많은 성분으로 이뤄진 복합체이므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발암 위험이 높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배아 발달에도 혹스 유전자가 큰 역할을 합니다. 초파리에는 여러 개의 혹스 유전자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데 진화 과정 동안 복제가 일어나면서 쥐와 인간의 유전체에는 이런 그룹이 4개나 존재 합니다. 혹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는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주입시켰어요. 그러자 뼈대 안에서 실제 심장 조직이 자라면서 물관이 인공 혈관 역할을 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왼쪽 위 사진).글렌 고데트 교수는 “식물을 이용해 사람의 생체 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놀라운 실험”이라고 말했어요. 인터뷰 글렌 고데트 교수엉뚱한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비 외에도 나방, 등에, 딱정벌레, 거미 등 다양한 곤충과 절지동물이 화분매개자 역할을 한답니다. 화분매개자는 속씨 식물의 씨앗을 만들고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데 꼭 필요해요.●수분 : 꽃의 꽃가루가 암술에 붙어 수정되는 과정.현장교육에 모인 대원들은 화분매개자의 먹이가 되는 ...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만을 차지하는 드문 뉴런이지만, 95%의 뉴런을 연결하는 지휘자 뉴런이다. 연구팀은 FSI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습관이 형성된 쥐에게 FSI의 활성을 막는 약을 주입했고, 그 결과 뇌의 신호 전달 과정이 습관을 형성하기 전으로 돌아간 사실을 확인했다. 레버를 누르는 쥐의 습관도 사라졌다. 카라코스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