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화산작용, 조산운동, 조륙운동, 해수와 기후의 변화, 대륙빙하의 발달 등은 동일과정설로 설명할 수 없다." - 격변설의 입장오늘날에는 진화론의 영향으로 이 지구가 우연히 생 ... 진화론적 사고가 무조건 옳고, 격변론적인 사고는 무조건 옳지 않다는 생각은 마땅히
수정
돼야 할 것이다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머물러 있다가 한 겨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급속히 발육을 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수정
란의 발육이 지연되는 현상은 사슴과 안에서 유독 노루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따라서 임신기간도 길 수밖에 없다. 사슴과(科) 동물중 최장인 2백80일의 임신기간을 갖고 있는 것이다.새끼는 단오를 전후해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위해서는 글자를 읽어들이거나 윤곽선을 뽑아내는 과정을 되도록 자율화할 필요가 있다.
수정
이 끝난 다음에는 출력될 글자의 품질을 조정하는 최종 마무리 작업을 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힌팅(hinting) 기술이다.힌팅은 작은 글자에서도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해 글자의 윤곽선을 조정해 주는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할 뿐이라는 이른바 좌뇌대세론을 펴기도 했다.그러나 얼마 뒤 브로카의 주장은 일부
수정
이 불가피해졌다. 오른손잡이 실어증 환자인 경우에는 그 원인이 분명히 좌뇌에만 있었으나 왼손잡이 실어증 환자의 병인은 우뇌 뿐만 아니라 좌뇌에서도 발견됐기 때문이다.양손가락 지문이 닮아 있어그후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구조전문가 칸(Flalzur Kahn)이 개발한 튜브구조개념을 채택하여 설리반의 계획안(1891년)을
수정
한 것이다. 하층부 중층부 상층부에 따라 평면형태 및 구조가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이며 기념탑과 같은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AT & 빌딩(1984)미국 전신전화국 본사건물로 뉴욕에 자리잡고 있으며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않았다. 아인슈타인은 그로부터 2년 반 동안 계속된 편지왕래를 통해 칼루자 논문의 일부
수정
을 요구했다. 드디어 1921년 아인슈타인은 칼루자의 논문을 학계에 추천했다. 이로써 칼루자의 이론이 베를린아카데미학회지에 실리게 되었다. 너무 작은 5차원칼루자는 4차원 시공위에 바탕을 둔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증거에 의해 계속
수정
돼 갈 것이다. 과학은 완성품이 아니고 늘 자체의 냉엄한 비판과
수정
을 통해 계속 발전해가는 과정에 놓여 있다. 이는 과학의 허점이면서 동시에 강점이다.그러나 창조론은 창조의 과정을 설명하고 해석하려는 자체의 논리적 체계가 없으며 과학의 허점을 과장하거나 왜곡,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신지구구조론 (New Global Tectonics)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후에 판구조론(Plate Tectonics)으로
수정
했다. 그때부터 판구조론은 지구의 진화 과정과 현재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설명해 주는 중요한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이 이론의 바탕아래 우리 지구의 신비를 하나하나 벗겨갈 수 있을 것으로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마찬가지로 우주전쟁 역시 돈을 받고 팔지 않았다. 우주전쟁은 아무나 가져다가
수정
을 가할 수 있었다. 조금씩 프로그램을 개정해 나갔던 이 집단 작업은 해커의 윤리를 분명히 입증하고 있다. 사물의 작동 원리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서 그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야말로 발전의 근원이었다.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운이 좋아야 일생에 걸쳐 여섯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동물원에 보호된 판다의
수정
도 쉽지 않은 게 웬만한 판다 전문가들도 판다의 배란기가 정확히 언제인지 알아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판다새끼가 태어나도 생후 몇 주에서 몇개월 사이에 어미의 실수로 깔려 죽거나 젖을 충분히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