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곧게 쭉쭉 뻗은 직선이 많이 생겼지요. 그런데 알고 보니 직선도 곡선의 일부였습니다. 세상은 결국 곡선으로 이뤄져 있었던 거지요.그렇게 파고들어가다 보니 재미있는 사실이 많이 보입니다. 삼각형은 알았어도, 이각형이나 일각형이 있다는 건 몰랐어요. 폭이 없는 선만으로 평면을 채울 수 ... ...
- INTRO. 구부러진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는 지금 도시 한가운데 서 있다. 하늘 위로 쭉쭉 뻗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일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 ...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세상은 굽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곳저곳에 수많은 곡선이 숨어 있다.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유려한 곡선미를 자랑하며 슝슝 달리고 있는 자동차다. 또 세계 ...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보관 창고에 보관한다. 시체 농장에 들어오는 모든 시체는 이렇게 DNA 정보를 남긴다.요즘 세상에 DNA를 안 들어본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해결의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던 사건이 머리카락이나 혈흔, 침, 심지어 손톱 밑에 낀 작은 피부 조직에서 찾은 DNA 정보 하나로 반전을 맞는 사건이 신문에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을 공부하다 보면 가장 짧은 길이의 선을 구하는 문제를 종종 접하게 된다. 이는 최단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중간에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때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 ... 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즉 1729가 A=B3+C3=D3+E3라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라는 사실을 떠올린 것이다. 세상을 떠난 뒤 유명해진 라마누잔!하디와 라마누잔이 연구한 정수론은 현대 응용수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줬다. 암호나 통신은 물론 공학에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업적은 오히려 죽은 ... ...
- [과학뉴스] 노벨화학상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0분의 1만큼 작은 분자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과학자 세 사람에게 수여됐다.분자기계는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으며, 빛이나 열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일정하게 움직인다. 분자로 만든 자동차, 분자로 만든 엘리베이터, 분자로 만든 근육처럼 미시세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망설이다가 뇌공학으로 전공을 정했지요. 제 선택은 옳았습니다. 이미 뇌공학은 세상을 바꾸는 중입니다. 뉴로마케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뇌파 반응으로 사람의 무의식을 읽어서 상품 개발과 마케팅에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미 상용화가 되어 있습니다. 의류 브랜드 ‘갭’이 로고를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로 인한 영향을 측정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덴마크는 어떻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을까요? 덴마크는 가장 평화로운 나라 2위, 가장 투명한 나라 1위, 가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 1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상 진료, 무상 ...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리 비용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수리가 끝나면 약속한 돈을 내기만 하면 됩니다. 문제는 세상에 이보다 훨씬 복잡한 계약 방법이 많다는 겁니다.올리버 하트 교수와 벵트 홀름스트룀 교수는 1970년대부터 경제 주체가 맺는 복잡한 계약을 연구했습니다. 알고 있는 정보의 양이 서로 다를 때 사람들이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