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으랏챠차! 안녕, 나는 키바라고 해. 나와 수천 대의 내 친구들은 무려 100kg도 넘는 크고 무거운 선반을 이고 물류 창고를 돌아다니지. 하지만 우린 절대 부딪치지 않아.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이게 원하시는 선반인가요?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군집로봇은 ‘키바(KIVA)’예요. 키바는 ... ...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아홉 번째 필즈상 후보는 브라질 수학자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교수입니다. 2014년 서울 세계 수학자대회의 기조강연자로, ‘윌모어의 추측’이라는 미분기하학의 유명한 난제를 풀어 수학계 눈도장을 확실히 찍은 수학자입니다. 하지만 마르케스 교수가 처음부터 수학을 공부했던 건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살아 있다”며 강연을 마쳤어요. 공룡이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두 번째 순서는 서울시립과학관 이정모 관장님과 박진영 연구원이 함께하는 토크쇼였어요. 강연에 참가한 친구들은 미리 공룡에 관해 궁금한 점들을 보내왔지요. 첫 질문은 ‘공룡이 멸종한 이유’에 관한 것이었어요. 어린이의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엔 하트를 만들어 볼까? 모여야 빛이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힘든 농사일도 우리가 도와 줄게!농업 역시 군집로봇이 활약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예요. 경작, 모내기, 수확 등 시기별로 작업이 정확히 이뤄져야 하고,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기 때문이지요. 유럽의 개방형 로봇 개발기구인 ‘이코드++(ECHORD++)’는 농업 분야를 위한 다양한 군집로봇 프로젝트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머물러 있다. 이번에 개봉하는 쥬라기 월드도 마찬가지다. 국내 공룡학자인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전작과 내용이 이어지는 시리즈물인 만큼 공룡의 외형을 갑자기 바꾸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영화는 영화대로 즐기는 한편, 고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옥에 티’를 찾으며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생기는 지반 중의 응력 연구단에서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이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대한지질학회장)는 “두 논문은(지열발전과 포항지진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는 충분하지만,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몇 가지 있다”고 말했다. 가령 수리자극 기간에 발생했던 ...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충전하는 데는 3시간 30분가량 걸린다. 한 번 충전하면 30~35km 달릴 수 있다. 이 정도면 서울에서 경기도 부천까지 갈 수 있다.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해 모터에는 페달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들어있다.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을 돌림힘(토크)이라고 하는데, 토크와 회전하는 물체의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새로운 물질의 발견은 인류 문명을 한 단계 도약시킬 기회가 될 겁니다.” 5월 4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에서 만난 최광용 물리학과 교수는 ‘라온’이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물질의 새로운 특성을 규명해 인류사에 기록될 신소재를 발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라온의 실험장치 중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정보 교류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교육청이나 지역구청은 물론,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특별시립보라매청소년수련관의 ‘청소년동아리활동지원사업’ 등 학교 이외의 기관에서도 다양한 과학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령 과학동아리 부원들은 ‘융합과학체험마당’ ‘사이언스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