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흔들어 놓음으로써 이른바 면역억제상태를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
백
질(mucoprotein, sialomucin)을 자신의 표면에 뒤집어 써 T세포의 가시권에서 벗어난다. 넷째로 이른바 방해 항체(blocking antibody)를 만들어 자신(암세포)에게 붙임으로써 면역시스템의 눈에 띄기 쉬운 염증반응이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좋지 않다. 이후 가장 좋을 때는 2098년과 2132년 무렵이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앞으로 1
백
년 이후에나 대규모 유성우를 기대할 수 있다.사자자리 유성우는 어느 방향에서 볼 수 있을까? 흔히 사자자리 부근에 집중돼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유성은 전하늘을 뒤덮듯이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LACERTA(Lac)ㅣ어두운 별이 하늘에 지그재그로 박혀 있어서 깜깜한 밤이면 쉽게 보인다.
백
조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지나는 가을 은하수에 머리를 적시고 꼬리는 페가수스자리 쪽으로 향하고 있다. 모양과 이름이 잘 어울려서 그런지 보고 있으면 흐뭇해지는 별자리다.ㅣ삼각형자리 TRIANGULUM(Tri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수상한 적이 있어 화학상만 두번 수상한 2관왕에 올랐다.정치적 편견도 깔려노벨상 1
백
주년을 맞기까지 화학 분야의 수상은 다른 분야에 비해 조심스럽고 보수적인 선택이 많았던 것 같다. 특별히 틀린 업적에 수상되거나 격이 떨어지는 수상은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다만 수상 후에 뒷얘기가 ... ...
노벨상 1
백
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과정(프로세싱)을 거친 후 핵 밖으로 전달된다. 이후 tRNA가 mRNA의 유전암호를 번역해 단
백
질이 만들어진다. DNA가 관여하는 놀라운 과정에 노벨상의 업적이 숨어있다. (2) 입자 발견과 노벨상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궁극적인 모습은 무엇일까. 한때 물질을 이루는 단위라고 생각했던 원자도 핵과 전자로 ... ...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미륵사지 동탑미륵사지는 7세기
백
제 가람의 전체적인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방식의 보존과 복원작업이 진행된 유적지다. 우선 일제 강점기에는 붕괴된 서탑을 콘크리트로 보강함으로써 문화유적을 ... ...
생생 화질, 입체 음향 디지털방송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백
50×4
백
80) 정도의 섬세도를 갖는다.이에 비해 HDTV의 경우는 이론적으로 가로×세로가 약 2
백
만(1천9
백
20×1천2
백
80)의 라인을 갖기 때문에 일반 아날로그TV에 비해 화소수가 6배 이상 많아 매우 섬세한 화상을 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아날로그TV로는 화면의 글자가 작아지면 ...
양초가 불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가장 안쪽의 검은 부분은 불꽃심으로 그을음이 가장 많이 생기며 온도는 3
백
-4
백
℃ 정도다.양초 불꽃 위에 종이를 덮으면 가장 바깥쪽의 겉불꽃이 닿은 부분이 온도가 높아 먼저 타기 때문에, 적당한 시간 후에 꺼내면 종이에 도넛 모양의 탄 자국이 생긴다 ... ...
궁궐의 우리 나무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것이다. 무령왕릉의 관재에 쓰인 금송은 가공하기 전 지름 1.3m, 길이 3m, 무게 3.6t에 수령 3
백
년 이상의 것으로 당시의 무역규모로서는 엄청난 것이었다.이 사실은 고대 한일관계사와 6세기 동북아시아의 대외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됐다. 두 연구는 모두 40년째 나무와 더불어 살고 있는 ... ...
언어 능력 담당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언어장애를 나타내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좌가 일어난 FOXP2 유전자에서 만들어진 이상단
백
질은 입, 입술, 혀를 움직이는 뇌의 부분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지 못해 결국 언어장애가 일어난다는 설명이다. 과학계에서는 언어와 관련된 유전자가 발견됨으로써 언어장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단서를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