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의 연산, 소수점의 위치를 맞춰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때소수점을 기준으로 수의 자리를 맞춘 뒤 계산해요. 자릿수가 달라서 헷갈릴 땐 소수점 뒤의 자릿수가 적은 쪽 끝에 0을 적어요. 소수의 오른쪽 끝에 0을 붙여도 수의 크기는 변하지 않아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안 돼~!”딱지가 머리를 감싸며 외쳤습니다. 꿈이 사실은 꿈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맨 뒤에 서 있던 사람이 성가시다는 듯이 말했습니다.“일단 깨어났으니 조종실로 데리고 와. 우주선 소개를 해줘야지.”딱지는 이 괴상한 일행을 따라 조종실로 갔습니다. 우두머리로 보이는 사람이 의자에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간격마다 표시를 했어요. 그리고 어린이들이 출발선에서 출발하여 도착선까지 달리게 한 뒤, 어린이들의 보폭과 뜀 속도를 분석했어요. 7세 어린이의 평균 보폭은 81.82cm, 평균 속도는 초속 2.68m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를 토대로 풍차처럼 돌려 연속적인 충격력을 만드는 모델을 개발한 거예요 ... ...
- [가상인터뷰] 시끄러운 터널 폭발음, 상어가 해결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애완상어나 플랑크톤 같은 작은 동물을 먹는 상어도 있으니 너무 겁 먹진 마.어른이 된 뒤에 치아가 새로 나지 않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계속 새로운 이빨을 만들어. 가장 이빨이 많은 상어는 고래상어야. 평균 3000여 개의 이빨이 박혀 있는데, 이빨 하나의 크기는 1mm도 되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아. ... ...
- [하야부사 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무사히 지구로 돌려보낸 거지요. 2014년 12월 3일 지구에서 발사된 하야부사 2호는 1년 뒤 지구 궤도에서 스윙바이*를 통해 속도를 높이곤 그대로 소행성 류구를 향해 날아갔어요. 그리고 2018년 6월 27일 류구 상공 20km 지점에 도착했지요. 이후 하야부사 2호는 두 번에 걸쳐 류구 표면에 탐사 장비들을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스윙바이, 운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상처가 남을 수밖에 없지요. 용융각 흔적을 가진 고체 물질은 국제운석학회에 신고된 뒤 과학자들의 검증을 거쳐서 이름을 선물 받아야 정식 운석으로 인정받게 된답니다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열린대요. ‘꺅~, 이대로 죽을 순 없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영혼들의 대열에서 맨 뒤로 가려고 도망쳤어요. 그러다 발을 헛디뎠는데, 다른 공간으로 떨어졌지 뭐예요. 처음엔 이제 진짜 끝이구나 싶은 거예요. 그래서 여기가 천국이냐고 물었는데, 모두 아니라길래 그럼 지옥인가보다 했죠. ... ...
- [과학뉴스] 액체도 고체도 아닌 새로운 물질 상태 발견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때문이다.연구팀은 타원형 콜로이드를 특정 용매에 넣어 콜로이드 현탁액을 만든 뒤, 콜로이드 입자 농도를 조절하며 공초점현미경으로 특성을 관찰했다. 그 결과 입자들이 병진운동(평행이동)은 하지만 회전운동은 하지 않는 독특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보통의 콜로이드 입자는 병진운동과 ... ...
-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팀은 이 그림이 그려진 벽화 위에 더께처럼 낀 탄산칼슘 침전물(스펠레오뎀)을 찾은 뒤 그 아래 그림 염료와 염료 아래 암석 일부까지 떼어내 우라늄 동위원소를 조사해 연대를 추정했다. 그 결과 리앙 테동게 동굴 벽화의 돼지는 최소 4만 5500년 전, 리앙 발랑가지아1 동굴 벽화의 돼지는 최소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서양 피아노 악보에서 동시에 연주되는 음정으로 만들어진 ‘코드워드’를 추출한 뒤 다른 악보와의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베토벤은 사후 100년 가까이 후대 작곡가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최고의 혁신적 작곡가는 후기 낭만파의 거장인 라흐마니노프였던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실의 전규현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