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d라이브러리
"
단위
"(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날개 깃대 굵기 정도 되는 가는 유리관을 준비했다. 그리고 유리관에 종이를 붙여 1인치
단위
로 표시했다. 그런 다음 유리관에 1인치 가량의 공기를 넣은 채 밀랍으로 봉했다. 이 유리관에 열을 가하면 공기가 팽창하면서 밀랍이 밀려나는데 공기가 팽창한 상태에서 냉각시켜 밀랍을 굳히면 유리관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묶어 좀더 큰 기억
단위
를 만든다. 기존 지식과 연결되지 못하면 고립된 채로 작은 기억
단위
가 되거나 잊혀지기 쉽다. 결국 많이 아는 사람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유리하다. 기억은 ‘부익부 빈익빈 ’인 셈.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으라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기억은 사라지지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탄화수소를 상대적으로 많이 가진 나무나 식물이 있다는 것. 하지만 대개 이런 식물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떨어지거나 재배조건이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굳이 식물에서 석유를 얻을 필요가 있을까요?” 박 박사가 되물었다. 탄화수소는 분자량이 커 발생하는 열량도 크고, 이산화탄소도 많이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신발과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센서는 압력에 따라 자기력선의 간격을 0.1mm
단위
로 측정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돼 신발의 압력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가장 적합한 쿠션의 상태를 결정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계산이 끝나면 그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설명한다.초속 2200m로 날아가는 열중성자는 에너지가 너무 커서 파장이 짧아 나노
단위
물질 구조를 측정하기가 어렵다. 에너지가 큰 만큼 분석대상의 물질 구조를 파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좀더 큰 물질 내부 구조를 파악하려면 파장이 좀더 길고 낮은 에너지를 갖는 중성자가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시골에서나 가능한 얘기다.하늘의 별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흔히 우주를 이루는 기본
단위
는 별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별이 수천억개 모여 있는 은하가 우주라는 거대한 건물을 구성하는 벽돌이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3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통해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외국에 비해 메디컬 지질학이라는 개념이 아직은 생소하다. 그러나 몇몇 연구팀들이
단위
연구실 규모로 활발하게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특히 폐광산 지역을 대상으로 비소와 같은 중금속 오염 방지와 복원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광주과학기술원 김경웅 교수팀,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 어인‘나노스’에서 유래되었는데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입니다. 나노 기술은 바로 원자나 분자 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의 물질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획기적인 분야랍니다. 나노 측정에 있어서 국내 최고의 권위자인 나노 세계의 마법사 국양 교수님을 여러분께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제조했다 한편 지구를 도체로 하는 환귀전류(還歸電流)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도량형
단위
의 확정에도 이바지했다 독일의 슈투트가르트 북쪽 약 20km 지점의 슈타인하임에서 발견된 민델-리스 간빙기(間氷期 ; 제2간빙기)의 인류 1933년에 두골(頭骨)이 발견되었고 젊은 성인으로 확인되었다 머리가 ... ...
암을 이겨 내는 유전자 고향곡 작곡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연구로 암을 이겨 내자!암은 정말 무서운 병이죠.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
를 세포라고 하는데요. 정상적인 세포들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생겨나고 또 없어지게 돼요. 그런데 암세포들은 이 규칙을 무시하는 세포들이죠. 이런 암세포들은 무한정으로 늘어나는 데, 그렇게 되면 인체는 제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